특히 야권에서 요구해온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민주화운동 공식 기념곡 지정 문제를 놓고 박 대통령이 “국론분열 없는 방안 마련”을 국가보훈처에 지시해 타결의 물길을 튼 것이 주목된다. 구조조정과 노동개혁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면서 총론적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야당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이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는 “회동 정례화 등 협치 차원의 진전”,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소통이 강조된 상당한 성과”라고 이날의 회동을 평가했다.
하지만 이 같은 긍정적 평가에도 여러 가지 ‘숙제’가 남겨진 것도 사실이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이날 회동에 대해 세월호법, 성과연봉제, 누리과정 예산 문제 등에서 의견일치를 보지 못했다고 전했다.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서비스산업발전법과 노동개혁 법안에 대한 야권의 구체적인 확답이 없었다는 점을 아쉬워했다. 결국 총선 이후 박 대통령과 야권의 첫 만남으로서 의미를 찾을 수 있지만 법안 합의 등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드는 데는 한계를 노출한 셈이다.
여야청 회동을 정례화하기로 한 만큼 이날 해결하지 못한 과제들은 앞으로 풀어가면 된다. 그러나 소통은 양방향이어야 한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이 야권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타협의 길을 모색해야겠지만 두 야당도 여권이 요구하는 서비스산업발전법과 노동개혁4법 처리에 대한 ‘답(答)’을 갖고 다음 회동에 임해야 한다. 대립이 격화하면 우리 사회가 치러야 비용만 커질 뿐이다. 4·13총선 결과에 나타난 민심은 여야청 모두에 혼돈의 길을 피할 해법을 내놓으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