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계개편 움직임은 여소야대(與小野大)와 3당 체제를 출범시킨 4·13총선 이후 이미 예견된 것이다. 다음 선거인 내년 12월 대통령선거 때까지 현재 3당 체제의 재편이 불가피하다는 구조적 측면과 여든 야든 뚜렷한 대권주자가 없다는 현실정치 상황이 맞물려 20대 국회가 출범하기도 전에 정계개편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셈이다. 이번 논의의 가장 큰 특색은 여권에서 떨어져 나온 세력과 야권의 세력이 헤쳐 모이는 이른바 ‘중도대연합’이나 ‘제3지대’가 주요한 정치세력으로 거론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강정책이나 이념지향이 서로 다른 정당 내 제(諸)세력이 새로운 정치결사를 모색하는 과정은 민주사회 정치의 당연한 흐름일 수 있다. 하물며 지난 총선은 유권자의 기성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계기였다. 다가올 대통령선거라는 대형 정치 이벤트까지 감안한다면 정계개편 논의는 피해갈 수 없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논의가 활발해질수록 우리 사회 전체가 치러야 하는 사회적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점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
4·13총선 직후 우리는 한국 사회가 내년 12월 대선까지 지나친 정치담론과 논쟁으로 치닫는 ‘정치과잉’을 경계한 바 있다. 경기후퇴와 구조변혁기를 맞고 있는 한국 경제에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정치환경이기 때문이다. 그런 맥락에서 정치권의 때 이른 정계개편 논의가 비생산적이고 소모적 정쟁으로만 치닫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