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맞춤형 보육의 정착을 위하여

서문희 한국보육진흥원장

서문희 한국보육진흥원장
오는 7월부터 영아의 어린이집 이용 지원에 부모의 보육 필요 정도가 반영된다. 부모가 자녀를 돌볼 여건이 되는 집에는 기본적으로 오전9시부터 오후3시까지 6시간의 보육 서비스와 월 15시간의 긴급 보육 바우처를 지원하고 장시간 자녀 양육 공백이 발생하는 집에는 종일반 보육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 같은 정부의 맞춤형 보육 운영방침이 발표된 후 찬반 의견이 다양하게 개진됐다. 수요자가 필요한 만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의견도 나왔고 시행상의 문제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맞춤형 보육에 대한 가장 큰 우려는 전업주부 등 이용시간이 줄어드는 부모들의 어려움, 종일제 보육 대상의 사각지대 발생, 종일제 보육 자격 판정을 위한 행정적 부담으로 요약된다.

우선 전업주부가 자녀의 어린이집 이용시간 제한으로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다. 물론 누구라도 어린이집 이용시간이 줄어든다면 불이익을 받는다고 느낄 것이다. 그러나 맞춤형 보육은 어린이집 이용의 실제와 제도 간 괴리를 해소해 정책 실효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부모의 보육 서비스 필요 정도와 무관하게 모든 아동에게 12시간까지 허용하는 현 제도는 정책 의도와 달리 보육현장에서 이용시간이 짧은 아이를 선호하는 경향을 만들었다. 이런 보육정책은 일하는 부모와 같이 장시간 보육이 필요한 부모의 실질적인 요구에 적절하게 부응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또 일부 아동은 필요 이상으로 어린이집에 길게 머물게 하는 등의 부작용도 나타났다.


맞춤형 보육은 누구에게나 어린이집 기본 이용시간을 보장하고 장시간 보육이 필요한 부모의 경우에는 불편 없이 보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본 이용시간과 긴급 바우처 시간을 합산하면 전업주부의 평균 보육시간인 6시간을 상회한다. 부모가 가정에서 자녀를 돌볼 수 있는데도 영아가 오후 늦게까지 어린이집에 머무는 것은 신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아동에게 도움이 된다고 볼 수는 없다. 다만 부모가 자녀를 직접 양육하거나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고자 할 때 지원이 가능하도록 시간제 보육기관이나 육아종합지원센터와 같은 양육 지원 시설 등의 지역사회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종일제 보육의 필요성을 증명할 수 없어 어린이집 이용이 제한되는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문제도 살펴봐야 한다. 이 점은 사실 맞춤형 보육제도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중요하게 고려돼야 할 사항 중 하나다. 장시간 보육이 필요하면서도 이를 서류로 증명하기 어려운 가구를 면밀히 파악해 종일반 보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종일제 대상자 선정 과정에서는 부모와 행정공무원의 편의가 고려돼야 한다. 우선 사회 보장 정보 시스템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정보를 활용해 종일반 자격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부모에게 별도로 서류를 제출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읍·면·동 주민센터에는 부모 상담 등을 돕는 보조인력도 지원해야 한다.

서문희 한국보육진흥원장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