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설정된 글로벌 하이일드채권펀드는 연초 대비 4.89%, 최근 3개월 동안은 7.12%의 수익률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뱅크론(시니어론)펀드도 연초 대비 평균 수익률 4.45%, 3개월 평균 5.51%로 반등했다. 두 펀드가 편입하는 채권에 에너지 관련 기업의 회사채가 적지 않은 비중을 점하고 있어 유가 변동에 따라 수익률도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지적된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25일(현지시간) 배럴당 49.56달러에 마감하며 지난 2월11일의 연저점 대비 약 96%나 올랐다. 미국의 석유·천연가스 등 에너지 운송 인프라 관련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MLP펀드의 수익률 변동은 더욱 드라마틱하다. 1년 수익률이 평균 -27.78%로 극도로 부진했으나 유가 반등 덕에 연초 이후 10.65%, 3개월 22.29%로 급격한 방향 전환에 성공했다.
문제는 펀드의 수익률이 회복하니 되레 자금이 빠져나간다는 데 있다.
한국펀드평가 펀드스퀘어에 따르면 26일 기준으로 유가가 반등하기 시작한 최근 3개월 동안 글로벌하이일드채권펀드에서 184억원, 뱅크론펀드에서 737억원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올 초와 비교해도 글로벌하이일드채권펀드에서 855억원, 뱅크론펀드에서 886억원 빠져나갔다. 지난해 유가 폭락으로 부진한 성과를 목격한 투자자들이 앞으로의 추가적 유가 상승 가능성을 낮게 보고 조금이나마 수익률이 회복됐을 때 차익을 챙기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시장 전문가들도 유가가 배럴당 50달러를 크게 웃도는 추세적 상승 가능성에는 회의적이다. 단기적으로는 배럴당 50달러를 넘을 수 있겠지만 올해 말까지는 현재의 유가 수준을 면하지 못하리라는 전망이 다수다. 김훈길 하나금융투자 연구위원은 “하루 평균 180만배럴의 원유가 수요 대비 초과생산되는 것으로 추산되는 등 공급과잉은 여전하다”며 “현재 유가도 오버슈팅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유가가 배럴당 50달러를 넘기는 순간 산유국과 미국 셰일오일의 증산이 재개될 개연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박준호기자 violato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