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살리기 가닥... 자회사 매각 2018년 이후로 연기

채권단, 제값 받기 위해.. '방산부문' 사장 우선 추진키로

대우조선해양 매각예상 자회사 현황
최종 자구안을 마련하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채권단이 자회사 매각을 오는 2018년까지 미루기로 했다. 대신 본사 사업부에 있는 방산 부문을 자회사로 떼어낸 후 상장해 최대 3,000억원의 자금을 확보하는 절차를 먼저 밟기로 했다. 아울러 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은 출자전환으로 전환해 올 하반기에 시행할 예정이다. 이 같은 계획은 대우조선해양을 확실히 살리겠다는 당국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5일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기존 수주분으로 3년간 연매출 8조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자회사 매각은 제값을 받을 수 있는 2018년으로 미루고 방산 사업부를 자회사로 분할해 상장하는 방식으로 3,000억원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10월 루마니아 망갈리아 조선소, 대우조선해양건설, 대우조선해양 드윈드, DSEM오만, DK마리타임스, 에프엘씨 등 6개 자회사 매각계획을 발표했지만 현재까지 골프장인 에프엘씨 한 곳만 매각에 성공했다. 채권단은 대우조선해양(산둥)유한공사·신한중공업·삼우중공업 등 8개 자회사를 매각 리스트에 추가하기로 했다. 이들 8개 회사는 2018년까지 매출을 유지하더라도 매각가가 자산가격의 절반 이하인 6,000억~7,000억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채권단은 대우조선 특수선사업부를 물적분할해 100% 자회사로 만든 후 투자 유치를 하는 방안이 자회사 매각보다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먼저 추진하기로 했다. 대우조선해양이 50% 이상 지분을 보유하되 지분 30~40%는 팔아 최대 3,000억원의 자금을 모을 계획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국내 대기업 계열 방산 업체에 한꺼번에 지분을 팔 수도 있고 일반인을 상대로 기업공개도 가능하다”며 “다만 방위 산업이라는 특성에 따라 외국인 주주에 10% 이상 팔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대우조선해양에서 방산사업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고 경영권을 매각하는 것도 아니어서 한화테크윈·LIG넥스원 등 주요 방산 업체들의 관심이 높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산업은행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1조원 규모 유상증자 계획 가운데 아직 실행하지 않은 6,000억원은 출자전환으로 방식을 바꿔 하반기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주식을 새로 발행해 팔아 자본을 확보하는 유상증자는 현재 주가를 반영해야 하고 절차도 복잡해 적기에 자금을 확보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반면 출자전환은 산은이 기존에 빌려준 6,000억원을 지분으로 바꾸는 것으로 회계장부에서 부채가 자본으로 바뀌기만 하면 돼 절차가 간단하고 부채비율은 개선되는 효과가 난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채권단의 유상증자나 출자전환 실행 여부를 대우조선해양 회생 여부를 판단하는 가늠자로 여겨왔기 때문에 산은이 출자전환에 나서는 것은 확실한 ‘살리기 신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채권단은 대우조선해양이 향후 3년간 매년 8조원의 매출을 확보한 것에 더해 신규 수주 물량을 최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지도 스트레스테스트를 통해 시나리오별로 검토하고 있다. 최근 2~3년간 대우조선해양의 평균 매출은 14조원이다. 특히 올해 말부터 내년 초까지가 유동성이 가장 부족한 시기이기 때문에 대우조선해양이 매년 1조원씩 쓰는 인건비 등 고정비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 채권단의 입장이다.

산은은 대우조선해양이 이란과 논의하는 신규 선박 수주가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신규 금융 지원도 논의할 계획이다. 산은 관계자는 “이란에서는 선주가 배를 주문할 때 조선사가 선주의 자금까지 마련해야 하는 조건을 걸고 있다”며 “이란 선주의 신용도 등을 면밀하게 따져보고 필요하다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세원기자 wh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