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바이오 업체 A사 관계자가 기자에게 건넨 말이다. ‘노무현 정부 때부터 추진했던 금융중심지 사업도 사실상 실패했다. 글로벌 기업을 유치해 바이오클러스터를 만들겠다는 것도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다.
솔직하면서도 우리나라 바이오산업 정책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말이다.
기자는 지난 6~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16 바이오인터내셔널 컨벤션’을 둘러볼 기회가 있었다. 행사장을 다니며 느낀 것은 우리나라는 바이오산업에서 성공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의약품위탁생산(CMO)과 바이오시밀러(복제약)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었다.
실제 CMO는 단순 하청 개념이 아닌 별도의 독자산업으로 커가고 있었다. 삼성전자와 대만의 TSMC가 파운드리라는 새로운 영역을 만들었듯 CMO는 마케팅 및 판매, 신약 연구개발과 동등한 3대 분야로 가는 추세다. 복제약도 그랬다. 셀트리온을 찾는 글로벌 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의 눈은 확연히 달라졌다.
정부는 어떨까. 올해 초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케어 세계 7대 강국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바이오인터내셔널’ 행사에서도 관련 부처와 유관기관이 모두 나와 우리 기업을 도왔다.
하지만 현장의 느낌은 다르다. 바이오클러스터 성공을 위한 외국 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세제혜택은 아직 먼 얘기처럼 들린다. 부처 이기주의도 여전하다. 해외행사에서도 소관부처를 따지며 ‘따로국밥’ 행사관을 만들고 국내 바이오기업 관계자를 초청하는 ‘코리아 나이트’도 별도로 연다.
“왜 바이오에만 혜택을 주느냐”고 할 수도 있다. “한국이 바이오에서 성공하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오는 2024년 글로벌 바이오헬스케어 시장(약 3,000조원)은 반도체와 자동차·화학을 합친 것보다 커진다. 우리가 경부고속도로를 닦을 때, 조선소와 제철소를 만들 때 한결같이 말도 안 되는 얘기라는 평가가 넘쳐났다. 지금은 어떤가. 당시 정부의 파격 지원과 기업가 정신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없었을 것이다.
바이오산업도 대대적인 지원을 고민할 시기다. 금융중심지에서 보듯 정부가 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도 쉽지 않다. 잘 키운 산업 하나가 20~30년 뒤에는 대한민국 전체를 먹여 살릴 수 있다.
susop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