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완성차 업체 1위인 도요타의 센다이 오히라 공장에서 근로자가 조립작업을 하고 있다./위키피디아 캡처
일본 경기의 호불황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지표 가운데 하나인 신차 판매대수가 지난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일본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소비위축 현상을 단적으로 드러낸 결과라는 분석이어서 3년간 막대한 돈을 풀어 내수진작을 유도해온 아베 신조 총리에게도 적잖은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자동차공업회는 올 들어 5월까지 일본 국내에서 판매된 신차 대수는 지난해에 비해 4.8% 감소한 212만6,000대라고 19일 발표했다. 통상 신입사원의 입사와 나들이철이 몰린 상반기 신차 판매량이 하반기보다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말까지 판매될 신차 대수는 500만대를 뛰어넘지 못할 것으로 협회는 내다봤다. 신차 판매대수는 동일본대지진이 발생한 2011년 421만대였으며 친환경차 보조금 지급과 지진 복구 특수 등에 힘입어 2012년 536만대, 2013년 537만대로 급증했다가 소비세를 8%로 인상한 2014년부터 올해까지 소폭 하락하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들은 자동차 산업을 둘러싼 안팎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이 같은 결과를 낳았다고 분석했다. 전반적인 경기 둔화에 2014년 단행한 소비세 인상 여파가 맞물리며 소비자들이 목돈이 필요한 자동차 구입을 미루고 있다는 것이다.
카셰어링이라는 신사업이 기존 완성차 업체의 몫을 나눠 가져가는 구조적 변화도 신차 판매 감소의 이유로 꼽혔다. 특히 신차의 주력 구매자층인 20~30대 젊은 직장인이 카셰어링을 대안으로 삼고 있다는 점이 신차 판매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된다. 2009년 무렵 물꼬를 튼 일본의 카셰어링 서비스는 회원 수 68만명과 운용차량 1만6,418대(2015년 말 기준)에 달할 정도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 내부의 문제도 제 발목을 잡았다. 미쓰비시와 스즈키 등 주요 완성차 업체의 연비조작 논란이 불거지면서 소비자 불신이 커진 탓에 경차 중심의 일본 자동차 시장이 크게 흔들렸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실제로 5월까지 배기량 660㏄를 넘는 자동차 판매는 0.2% 증가한 135만4,000대였지만 경차는 12.5% 감소한 77만2,000대에 불과했다. 스즈키의 경우 연비조작 논란 이후 5월 경차 판매량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5.4%나 급감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자동차 산업은 일본 전체 근로자의 10%가 종사하는 분야이자 부품·소재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기간산업이기 때문에 시장 축소가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수민기자 noenemy@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