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1도 오르면 사망률 16% 상승 “폭염 여부 고려해야”

기온 1도 오르면 사망률 16% 상승 “폭염 여부 고려해야”


기온이 1도 오르면 사망률이 16% 상승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7일 박혜숙(이화여대의대 예방의학교실)·이원경(인하대병원 예방관리과) 교수팀은 지난 1991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과 부산에서 폭염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보도했다.

조사결과 낮 최고기온이 30도를 오르내리는 폭염 때 서울에서 기온이 1도 더 오르면 사망률이 16%나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의 조사 결과 서울에서는 폭염이 발생했던 해에 임계점(29.2도) 이상에서 기온이 1도 더 오르면 사망률이 15.9% 높아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폭염이 발생하지 않은 해에는 기온이 1도 높아져도 사망률이 0.31% 높아졌다. 부산의 경우 폭염과 사망률에 이런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폭염에 의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선 폭염 예보에 주의를 기울이고 오전 11시~오후 2시에는 되도록 야외 활동을 삼가야 한다고 밝혔다. 실내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해 바깥과의 온도 차를 줄이는 것도 좋다고 언급했다.

이원경 인하대병원 예방관리과 교수는 “고온과 사망의 관련성은 폭염 여부를 고려하지 않으면 잘못 이해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처럼 내륙인지, 해안지역인지에 따라서도 폭염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만큼 보건정책 수립에 고려돼야 한다”고 발표했다.

[사진=뉴스화면 캡처]

/장주영기자 jjy0331@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