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만 이런 모습을 보인 게 아니다. 중국은 1일 달러화 대비 위안화 가치를 0.28% 낮췄고 대만 중앙은행도 전날 기준금리를 1.5%에서 1.375%로 내리는 네 번째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가뜩이나 경기침체 극복 수단으로 환율을 동원하고 싶어하는 각국 정부로서는 브렉시트가 좋은 핑계가 된 셈이다. 문제는 브렉시트로 인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더 많은 국가가 경기부양을 위해 환율에 매달릴 가능성이 크다는 데 있다. 금리 인상이 거론되던 미국에서는 동결을 넘어 인하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일본은행이 이달 말 금융정책 결정회의에서 추가 양적완화를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팽배한 것도 여기서 연유한다.
그러잖아도 신보호무역주의의 득세로 글로벌 경제에서 국가이기주의가 갈수록 팽배해지는 형국이다. 수출이 국내총생산(GDP)의 38%를 차지하는 우리로서는 결코 반갑잖은 소식이다. 이 난국을 극복할 길은 환율이라는 수단을 무력화할 수 있을 만큼 각 분야에서 강력한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내수 기반을 탄탄히 하는 것뿐이다. 산업구조를 미래산업 중심으로 개편하고 기업의 혁신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일이다. 이 모든 것의 출발점이 구조개혁임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