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예방 위해서는 '간헐적 단식'하라"

간헐적 단식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출처=이미지투데이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를 위해 하는 ‘간헐적 단식’이 치매를 비롯한 신경 퇴행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 연구팀은 “일상적인 생활에서 정기적으로 단식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간간이 섭취 칼로리를 줄이는 것도 뇌 구조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어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같은 진행성 뇌 장애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신경과학과 교수인 마크 매트슨 박사는 “이제까지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이번 연구에서도 단식이 뇌에 미치는 좋은 효과가 밝혀졌다”고 말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면 포도당이 글리코겐으로 간에 축적된다. 섭취 10~12시간 후에 우리 몸이 글리코겐을 사용할 때 에너지를 내기 위해 지방을 태우기 시작하며 글리코겐을 신경세포가 에너지로 사용하는 케톤으로 전환한다. 케톤은 뇌 신경세포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매트슨 교수는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 세끼 외에 간식 등을 먹는데 간에 있는 글리코겐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면 신체는 지방을 태울 필요가 없어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격렬한 신체 활동이나 인지 작업, 칼로리 제한 등의 상황이 오면 뇌는 신경영양인자(BDNF)로 불리는 단백질을 만들어 낸다. 이 신경영양인자는 신경 연결망을 강화시키고 새로운 신경세포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트슨 교수는 “아마도 진화의 과정에서 신경영양인자가 뇌의 신경가소성을 증가시키고 기분이나 동기유발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력에 중요한 새로운 시냅스(신경 접합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진화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식은 뇌에 일종의 도전이 되는데 이때 뇌가 적합한 스트레스 반응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반응함으로써 신경 퇴행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잠시 동안 먹을 음식을 구하지 못할 때 뇌가 잘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이뤄졌으며, UPI통신이 보도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