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만 5,000명 졸업…'평생교육원' 논란 증폭

한양·경희·중앙대 등 300명 배출
다른 대학들도 앞다퉈 도입 추진
학생들 "학위 장사" 반발 잇따라
대학 "교육수요 대비 차원" 반박

이화여대 학생들이 31일 대학 본관에서 직장인 대상의 단과대학 설립을 반대하며 나흘째 점거 농성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화여대가 평생교육대학 도입을 둘러싸고 내홍을 겪고 있는 가운데 평생교육대학과 비슷한 방식으로 학사 학위를 취득한 졸업자 수가 지난해에만 5,000명이 넘었다. 한양대, 경희대, 중앙대 등 세 곳은 무려 300명이 넘는 이들이 졸업장을 받았으며, 나머지 대학들도 앞다투어 해당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어서 논란이 증폭될 전망이다.


31일 대학가에 따르면 이른바 평생교육원 학위 수여자(총장 명의)는 지난해 5,107명에 달했다. 이는 2014년(2,786명)과 비교하면 83%나 급증한 수치다. 올해 상반기 졸업자만도 3,098명에 이른다. 연간 총 졸업자 역시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서울경제신문이 평생교육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5 주요 대학별 평생교육원 학위수여자 수’ 통계에 따르면 서울 시내 대학 평생교육진흥원 중 100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하며 학위증을 수여한 학교는 한양대(518), 경희대(407), 중앙대(352), 건국대(296), 명지대(242), 서경대(203), 총신대(190), 광운대(124) 등 8개교다. 한성대와 서강대 역시 각각 95명, 94명으로 집계됐다. 문제는 평생교육원과 같은 형태로 총장 명의의 졸업장을 발급하는 행위에 대해 학내 구성원들이 ‘학위 장사’라며 강력히 반발하면서 학내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평생교육 수강생이 급증하며 학내에서는 학습공간 부족 등 크고 작은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기존 평생교육원 수강생들이 수시나 정시 전형으로 들어온 학생과 외관상 차이가 없는 졸업장을 받으며 제기됐던 ‘네임밸류 하락’ 논란도 갈등의 핵심 이슈다. 이대 학생들은 지난달 27일부터 직장인 대상의 단과대학 설립을 반대하며 나흘째 대학 본관에서 점거농성을 벌이고 있다. 서울의 A대학 총학생회 관계자는 “일부 교수들마저 소속 학과 건물에 연구실을 두지 못할 정도로 학내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면 대학 입장에서는 평생교육원이 단과대학으로 격상되면 정원 감축을 피하고 학점당 등록금 책정이 자율적으로 가능해 포기가 쉽지 않다. 서울시내 D대학 관계자는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선취업 후진학의 수요가 늘어나는 등 국내 고등교육 구조가 변화하는 현실을 고려해 대학이 성인학습자 교육 수요에 대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반박했다./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