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국내 대체투자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국내 기관투자가의 대체투자규모는 260조3,000억원으로, 2006년말 61조4,000억원 대비 4.2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6.7%로 10.6%포인트 상승했다.
대체투자란 주식이나 채권 등 전통적 투자자산이 아닌 민간투자사업(PPP), 부동산펀드나 리츠(REITs) 등 간접투자, 특별자산 펀드, 사모펀드(PEF) 및 헤지펀드 등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전체 대체투자의 70%는 민간투자사업(39.3%)과 부동동산펀드(22.7%), 리츠(6.9%) 등이 차지했다. 특별자산펀드 투자는 15.5%, 사모펀드는 14.3%, 헤지펀드는 1.3%였다.
한은 관계자는 “부동산간접투자는 높은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민간투자사업은 최소운영수입보장(MRG) 폐지 등으로 증가 폭이 감소했고, 특별자산펀드 및 사모펀드의 증가 폭은 확대 됐다”며 “기관투자가들은 고정적인 현금흐름 창출이 가능하도 다른 대체투자 자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산가치 변동이 크지 않은 부동산과 민간투자사업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험사나 은행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대출과 펀드 비중이 높은 반면, 자산운용사는 출자 비중이 높았다. 투자지역은 국내 비중이 대체로 높지만, 연기금 등을 중심으로 해외 대체 투자가 확대되는 추세다.
한은은 국내 기관투자가의 대체투자가 시스템 리스크는 제한적이지만, 해외투자의 경우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직접 운용하기 보다는 자산운용사를 통한 간접투자 비중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보험사의 해외 대체투자 중 자산운용사를 통한 간접투자 비중은 2013년 말 39.3%에서 지난해 9월말 기준 50.7%까지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자산 운용사가 운용하는 해외 대체투자 펀드의 경우 환 헤지 비중이 낮은 편이라 환 리스크에도 노출돼 있다”며 “유럽연합(EU)의 대체투자 운용지침(AIFMD)처럼 체계적인 자료 수집 및 감독이 가능한 모니터링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