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의 가계부채 비율 변화(2008년 말 대비 2014년 말)를 비교한 결과 한국은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9.9%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그리스(27.1%포인트), 벨기에(22.1%포인트)에 이어 3번째다. OECD 회원국 평균 상승률 1.6%포인트에 비해서는 크게 높다. 영국(-22.5%포인트), 미국(-21.9%포인트), 독일(-5.8%)은 오히려 가계 빚이 크게 줄었다.
최근 통계를 봐도 한국의 가계부채 비중은 계속 불어나고 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3%로 전년(87.2%)보다 4.1%포인트 높아졌다. 지난 2011년 80%를 넘긴 지 4년 만에 90%선을 넘은 것이다. 가계대출 범위를 대출금과 정부융자 2개로 좁힌 국제결제은행(BIS) 기준으로 따져도 지난해 한국의 가계부채 비중은 88.4%로 2014년(84.2%)보다 4.2%포인트 올랐다.
전문가들은 가계부채가 높은 데도 불구하고 대다수 국가들이 상환부담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저금리 추세가 장기화한데다 각국이 만기연장 등 가계부채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문제가 지연됐을 뿐 근본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가계부채는 소비둔화로 이어지고 글로벌 경제의 수요위축에도 영향을 미친다.
김재칠 한국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가계가 상환부담을 견디는 것은 최근 수년간 이어진 금리하락, 만기연장 등에 영향을 받은 것일 뿐 불안요소는 여전히 내재돼 있다”며 “소득이 안 늘고 금리마저 인상된다면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만큼 정책의 초점을 연착륙에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