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현실 어떻길래]브레이크 없는 가계빚...증가속도 OECD 3위

금융위기 이후 빠르게 늘어
지난해 GDP대비 비율 91%
전년도 보다 4.1%P 치솟아
英·美·獨은 오히려 크게 감소

다른 주요국가들과 비교해봐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상당히 빠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가운데 3위다. 국가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될 정도로 정부의 호주머니 사정(재정)은 넉넉할지 몰라도 가계는 빠르게 불어나는 빚에 짓눌리고 있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의 가계부채 비율 변화(2008년 말 대비 2014년 말)를 비교한 결과 한국은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9.9%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그리스(27.1%포인트), 벨기에(22.1%포인트)에 이어 3번째다. OECD 회원국 평균 상승률 1.6%포인트에 비해서는 크게 높다. 영국(-22.5%포인트), 미국(-21.9%포인트), 독일(-5.8%)은 오히려 가계 빚이 크게 줄었다.


최근 통계를 봐도 한국의 가계부채 비중은 계속 불어나고 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3%로 전년(87.2%)보다 4.1%포인트 높아졌다. 지난 2011년 80%를 넘긴 지 4년 만에 90%선을 넘은 것이다. 가계대출 범위를 대출금과 정부융자 2개로 좁힌 국제결제은행(BIS) 기준으로 따져도 지난해 한국의 가계부채 비중은 88.4%로 2014년(84.2%)보다 4.2%포인트 올랐다.

전문가들은 가계부채가 높은 데도 불구하고 대다수 국가들이 상환부담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저금리 추세가 장기화한데다 각국이 만기연장 등 가계부채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문제가 지연됐을 뿐 근본적으로 해결된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가계부채는 소비둔화로 이어지고 글로벌 경제의 수요위축에도 영향을 미친다.

김재칠 한국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가계가 상환부담을 견디는 것은 최근 수년간 이어진 금리하락, 만기연장 등에 영향을 받은 것일 뿐 불안요소는 여전히 내재돼 있다”며 “소득이 안 늘고 금리마저 인상된다면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만큼 정책의 초점을 연착륙에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