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밥상’ 전국 피서지 밥상 소개…고들빼기김치부터 도리뱅뱅이까지

‘한국인의 밥상’ 전국 피서지 밥상 소개…고들빼기김치부터 도리뱅뱅이까지


‘한국인의 밥상’ 전국 피서지 밥상이 소개됐다.

18일 방송된 KBS1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우리는 동네에서 논다? 남들은 모르는 비밀 피서지 밥상’편이 전파를 탔다.

▲ 동네 숨은 피서지 구곡폭포에서 맛보는 고들빼기김치와 산다슬기 - 순천 운월리 복숭아 농가

해발 고도 400미터, 약 140여 가구의 복숭아 농가가 모여 있는 운월리. 길가에 줄지어 늘어서 있는 복숭아 판매대는 과거 우리 추억 속 원두막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복숭아 농가 주민들은 올해 여름도 구슬땀을 흘리며 복숭아 수확에 한창이다. 어머니의 병간호를 위해 20년 전 귀농한 장봉식씨 부부. 봉식씨 부부는 어머니의 복숭아 과수원을 이어받아 복숭아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고 있다.

과거 자식들이 고향에 올 때마다 시어머니가 해주시던 사랑과 정성이 담긴 장어탕을 이제는 경자씨가 남편과 자식들을 위해 끓인다. 들깨 국물을 부어가며 정성으로 끓인 장어탕에 복숭아밭에서 캐온 고들빼기로 담근 고들빼기김치까지 곁들이면 무더위에 저 멀리 달아났던 입맛도 다시 돌아온다고.

무더위 속 농장 일에 지칠 때 마을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여 간다는 동네 피서지 구곡폭포의 시원하게 떨어지는 폭포수 밑 바위에 둘러앉아 나누는 운월리 사람들의 피서지 밥상! 다슬기 물을 우려내서 만든 시원한 수제비 한 수저와 달달한 복숭아 병조림 한 조각이면 무더위도 두렵지 않다.

▲아저씨, 소년이 되다 - 강진 봉황리 ‘대섬’의 무인도 밥상

마을에서 배를 타고 5분이면 도착하는 봉황리 앞 무인도 대섬! 어릴 적 된장 주머니 하나 차고 수영해서 가던 대섬은 중년이 된 지금도 이재영씨를 비롯한 마을 남자들에게 여전히 정다운 놀이터다. 특별히 재료를 챙겨 가지 않아도 대섬 앞 갯벌에서 채취한 재료들만으로도 훌륭한 밥상이 차려진다.

낙지와 바지락을 넣어 시원한 맛이 더해진 낙지바지락백숙을 삼삼오오 함께 나누어 먹으며 낙지 대가리를 서로에게 양보하는 미덕 속에 정은 깊어간다. 쏙과 맛조개에 된장 한 숟갈 크게 떠 넣어 끓여 낸 쏙맛조개된장국 또한 어린 시절 먹었던 맛 그대로 재영씨를 반긴다.


대나무 낚싯대로 직접 잡아 올려 그 자리에서 손질해 먹는 문저리(망둥이)회 역시 별미이다. 깻잎에 된장 조금과 고추 한 토막을 얹어 같이 쌈을 싸서 먹으면 그 맛이 소고기 꽃등심보다 훌륭하다는데~ 봉황리 사람들의 어린 시절 추억과 낭만이 깃들어 있는 무인도에서 낭만의 피서지 밥상을 만나 본다.

▲바위틈마다 자연 에어컨, 풍혈에서 즐기는 피서 - 정선 운치리 풍혈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놀이터이기도 했다는 풍혈! 한 여름에도 얼음이 얼고 뼈가 시릴 정도로 찬바람이 나온다는 바위틈 자연 에어컨을 동네에서 즐기는 사람들이 있다. 아름다운 정선의 동강을 벗 삼아 살아가는 운치리의 이근철씨 부부. 근철씨와 순례씨는 초등학교 때 만나 평생을 함께 해 온 가장 오래된 친구이자 부부다. 엄하셨던 순례씨 아버지의 눈을 피해 몰래 편지를 주고받으며 키우던 사랑은 결국 부부의 연으로 결실을 맺었다고.

근철씨가 집 앞 동강에서 민물고기를 잡아다 깨끗하게 손질해서 아내에게 건네주면 순례씨는 맛깔스러운 도리뱅뱅이를 만들어 막걸리와 함께 내온다. 순례씨가 어머니에게 배워 지금도 종종 해 먹는 김치메밀만두 맛 또한 일품이다. 메밀가루로 반죽해 만두피를 만들고 속은 김치로 채우는데, 순례씨네 어머니표 만두의 백미는 마지막에 들기름과 참깨에 버무려 고소한 맛을 한층 더한다는 것이다.

맛있는 음식은 시원한 곳에서 먹어야 제 맛! 집 앞의 산, 옛 초등학교 가던 길목에 있는 자연 에어컨 풍혈을 찾아 밥상을 편 근철씨 부부! 풍혈에서 나오는 에어컨 보다 더 시원한 자연 냉풍을 맞으며 먹는 메밀 냉국수 한 젓가락과 꿀을 섞은 수박 한 숟갈이면 어느새 더위는 저 멀리로 달아난다.

▲일터 위의 피서지, 원두막의 추억을 맛보다 - 홍천 대곡리의 옥수수 원두막

강원도 홍천 대곡리 유동진씨의 옥수수밭에는 마을 사람들의 사랑방 노릇을 톡톡히 해내는 30년도 훨씬 넘은 옛날 원두막이 하나 있다. 유동진씨가 산에서 나무를 해 와 직접 지은 원두막에는 여름이면 마을 사람들이 둘러앉아 참외며 수박을 나누어 먹으며 농사의 고단함을 달랜다.

과거 화전 밭을 일구며 새참으로 먹었던 막장 냉국과 보리밥은 여전히 여름철 최고의 새참으로 남아 옥수수 수확에 땀 흘린 주민들의 허기를 달래준다. 옥수수 대를 솥에 함께 넣고 쪄서 더 달콤하고, 칡잎으로 싸서 쪄서 더 향긋한 옥수수칡잎떡은 요새 아이들 입맛에도 제법 잘 맞는다.

가마솥에서 잘 익혀낸 감자범벅은 찰떡궁합인 오이냉국과 먹을 때 더 맛있다는데~ 여름밤, 감자범벅 해 먹고 오야주 서리를 나섰다던 동네 여자들의 오야주 서리 이야기를 들으며 여름 별미를 맛본다. 과거 어른들의 쉼터에서 이제는 아이들의 놀이터 역할까지 해내는 원두막! 옛 원두막의 추억이 그대로 살아있는 대곡리 주민들의 밭 가운데 피서지, 옛날 원두막을 찾아간다.

[사진=KBS 제공]

/전종선기자 jjs7377@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