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상수원 수질보전 위해 자연보전권역 산업집단화 시급

폐수배출공장 중 소규모 사업장(96%)… 폐수배출관리 한계

팔당상수원의 수질 보전을 위해 경기 동부의 자연보전권역 내 산업시설을 집단화하고, 이를 위한 입지규제를 개선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산업입지를 중심으로 경기 동부지역의 입지규제 문제점을 분석하고 팔당상수원 보호를 위한 산업폐수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한 ‘경기 동부지역 산업입지 실태 및 관련규제 개선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도 면적의 38%인 자연보전권역의 공장입지 실태를 살펴보면 입지공장의 99%는 산업단지 이외 지역에 개별입지하고 있다. 입지공장의 약 7%는 폐수배출공장으로 95%가 개별입지에 해당하며, 이 중에서도 특히 96%가 소규모(4~5종) 사업장에 해당한다.


경기도 자연보전권역 내 폐수배출공장 281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81%가 ‘현행 규제수준이 엄격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투자지연 원인인 입지규제로 ‘수도권 규제(87%)’를 꼽았다.

규제개선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 분석 결과, 수도권 규제 개선으로 인한 투자효과는 약 1조7,000억원, 고용효과는 3,643명에 달했다.

폐수배출공장 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20년 이상 노후시설은 21%(소규모 사업장 29%)에 해당하며, 증설이 필요한 사업장(가동률 85%이상 시설)은 전체의 25%로 대부분의 소규모 사업장이 이에 해당된다. 수질관리 전문 인력을 보유한 곳은 15%에 그쳤으며, 폐수배출시설의 지도·점검 횟수도 소규모 사업장일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영무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자연보전권역 내 산업폐수 관리방안으로 ‘개별입지공장의 집단화’가 시급하다”면서 “개별입지공장의 신·증설 시 집단화를 통해 폐수종말처리시설 설치·운영을 통한 안정적인 폐수처리, 방류수수질기준 적용을 통한 오염부하량 감소, 관리조직 일원화를 통한 배출시설 관리·감독의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수도권 주민의 생명수인 팔당상수원은 1974년 준공 이후 상수원 보호 정책들이 추진하고 있으며 입지규제가 대표적이다. 상수원 주변의 경기 동부지역에는 환경법 및 토지이용법에 의한 다양한 규제들이 중첩되어 있는 가운데, 최근 입지규제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수원=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