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등기이사로] '갤노트7 사태' 예상보다 심각...조직·인사쇄신 통해 난국 돌파

글로벌 시장 납득할 특단의 대책 조만간 내놓고
M&A 등 사업재편 가속...공격적 투자 이어갈듯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전자 등기이사로 선임된다. 주력 부문인 스마트폰 사업에서 갤럭시노트7 화재로 난관이 예상되면서 책임경영을 통해 난국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삼성전자의 사내 등기이사는 권오현 부회장(DS부문장)과 윤부근 사장(CE부문장), 신종균 사장(IM부문장), 이상훈 사장(경영지원실장) 체제였다. 그동안 이건희 회장이 와병으로 장기간 경영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그룹 전반에 걸쳐 속도감 있는 사업구조 재편과 지배구조 개선작업이 이 부회장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이 부회장이 사내이사로 선임돼야 한다는 업계 목소리가 컸다. 하지만 사내이사가 되면 경영상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것은 물론이고 보수까지 공개해야 한다. 이 때문에 오너가 출신 2~3세 등은 등기이사 선임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지난 2013년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등기임원의 5억원 이상 보수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삼성그룹에서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유일하게 등기이사에 올라 있다.

그럼에도 이재용 부회장이 등기이사에 이름을 올리려는 것은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 사태가 악화 일로를 걷고 있기 때문이다. 화재에 대한 전면 리콜 결정에도 사고가 이어지면서 미국 등 각국에서 사용 중지 권고 등을 내렸고 이에 따라 주력사업인 스마트폰 부문의 어려움이 예상됐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판매가 부진하면 반도체·디스플레이·부품 등 다른 부문까지 동반 악화하는 경향이 있다. 삼성이라는 브랜드 신뢰도에 치명상을 입을 수도 있는 품질 문제를 본인이 등기이사로서 책임을 지고 전면에서 수습하겠다는 의지로 업계는 분석했다. 실제로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갤럭시S7·엣지의 인기에 더해 갤럭시노트7의 인기까지 더해져 올해 영업익이 3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갤럭시노트7의 화재사고가 이어지면서 하반기 영업이익이 약 1조원가량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전격 리콜 결정 및 사용 중지 권고 등으로 스마트폰 판매량이 당초 예상보다 많은 900만대가량 급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업계에서는 이재용 부회장의 사내이사 선임에 따라 삼성전자의 주주 친화 정책도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3월 주총에서 의장직 선임 대상을 이사회의 모든 구성원으로 넓히는 내용을 담은 정관변경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이어 자사주 매입 등을 진행해 주주 가치를 높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재용 부회장이 책임경영에 나서면서 아무래도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의 책임경영은 당장 투자 부문에서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의 충전 중 화재사고로 실적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도 예정된 투자는 그대로 이어간다. 하반기 1조원 이상의 영업이익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에도 미래 먹거리인 3차원(3D) 낸드플래시 메모리와 스마트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올레드) 패널에 대한 투자를 통해 위기를 극복해갈 것으로 보인다.


우선 스마트폰(IM) 부문에서 갤럭시노트7으로 인해 사업 전체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하반기 시설투자는 계획대로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하반기 투자계획에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투자금액이 대부분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늘면서 미래 먹거리로 적극 육성하고 있는 3D 낸드플래시 메모리, 스마트폰용 올레드 패널 등에 투입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4분기 컨퍼런스콜을 통해 “올해 투자액이 지난해(25조5,200억원)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히며 하반기 약 17조원 이상을 투자할 것으로 예고한 바 있다.

하반기 기준으로 하면 9분기 만에 가장 많은 금액이다.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부문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48단으로 쌓은 3세대 3D 낸드를 양산하고 있다. 경기 화성의 반도체 16라인 일부를 3D 낸드용으로 전환했고 화성 17라인 2단계 공장에도 3D 낸드 라인을 설치하고 있다. 경쟁사인 인텔이 중국에서 3D 낸드 양산에 돌입한다고 밝히고 도시바가 64단 3D 낸드를 개발했다며 내년 상반기 양산을 예고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3D 낸드 플래시 부문에서는 삼성전자의 경쟁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3D 낸드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이어갈 계획이다.

스마트폰용 올레드 패널 시장에서도 삼성전자는 압도적인 우위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삼성에 이어 애플도 스마트폰에 올레드 패널 사용을 늘리는 등 관련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형 올레드 패널 생산시설에 약 10조원 이상을 투입해 증설에 나서는 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부문에서 당장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반도체와 디스플레이·가전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어려움을 이길 수 있을 것”이라며 “투자를 이어가는 것도 이런 이유”라고 분석했다.

/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