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1년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체제 결속과 안정에 주력해온 북한이 최근 들어 예전보다 적극적으로 대외관계에 나서고 있다.
20일 북한의 당국회담을 위한 실무접촉 제안, 19일 유엔이 공식 인정한 반기문 사무총장의 방북 추진, 10월 류윈산 중국 공산당 상무위원의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행사 참석은 예전과 달라진 모습으로 평가된다.
북한은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김정은의 5월 러시아 전승절 기념행사 불참, 반 총장의 개성공단 방문 취소 등 대외관계에서 소극적인 모습을 나타냈다.
북한의 변화 원인은 내년 5월 예정된 제7차 노동당 대회 개최에서 찾을 수 있다. 1980년 10월 제6차 노동당 대회 이후 36년 만에 열리게 되는 이번 행사는 '김정은 시대'의 개막을 대내외에 알리는 의미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은 내년 당 대회 개최를 앞두고 대외관계든 경제든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김정은의 지도자 이미지 구축을 위해 안정된 체제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대외관계 개선에 나선다는 것이다.
북한의 이번 당국회담을 위한 실무접촉 제안은 이러한 대외관계 개선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앞서 북한은 '8·25 합의'를 계기로 진행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 민간교류에서도 과거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드러냈다. 이번 실무접촉에서도 이 같은 기조가 이어질지 관심을 모은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실무접촉 날짜를 제안했기 때문에 오는 26일에 접촉이 이뤄진다면 북한 측으로서는 먼저 판을 깨는 것은 부담스럽기 때문에 유연성을 발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 총장의 방북 성사 여부도 북한의 대외관계 개선 의지를 평가할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유엔에서 인권 문제를 담당하는 제3위원회는 이날 오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 인권상황을 규탄하고 관련자에 책임을 물을 것을 요구하는 내용의 북한 인권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반 총장이 방북할 경우 이러한 인권 문제와 핵 문제 해결을 거론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북한의 대응이 주목된다.
북중관계는 북한의 대외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김정은의 중국 방문이 언제 이뤄질지도 관건이다. /박경훈기자 socool@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