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30일부터 대기업 집단에서 빠지게 된 카카오가 모바일 신규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게 됐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기업의 조건을 10조원으로 높인 시행령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자산규모 5조원의 카카오가 모바일 신규 사업에 숨통을 트게 됐다.
카카오 측은 “대기업으로 지정되면서 공시 부담 등을 새롭게 지게 된 계열사 스타트업들이 부담에서 벗어나 사업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업계에서는 외부 벤처캐피탈(VC) 투자 제약에서 자유롭게 된 점을 꼽는다.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따라 대기업의 계열사는 외부 VC 투자를 받을 수 없도록 규정돼 있다. 기존의 계열사로 묶인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새롭게 스타트업 투자를 모색 중인 카카오에 악재로 작용한다는 우려가 나왔었다.
대기업 해제를 계기로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각종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개발 및 확대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카카오가 다양한 분야에서 능력을 갖춘 스타트업 관계자들을 만나며 O2O 서비스, 동영상 서비스 등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대기업 지정 해제되면서 이런 움직임이 더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카카오 내부적으로는 각종 규제 및 카카오에 대한 부정적 여론 등에 대한 부담이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가사도우미서비스 ‘클린홈’은 선지급금 지급 금지 규정 등 각종 규제가 걸려 있다. 대리운전 서비스인 ‘카카오 드라이버’의 경우 대리기사들이 이용하는 셔틀버스 운행이 현행법상 불법인 점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른 실적 악화로 임직원의 사기도 떨어진 상황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갈수록 수익이 떨어지다보니 임지훈 대표, 김범수 의장에 대책을 촉구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며 “카카오가 몸집은 대기업 수준으로 커졌지만 충분한 검토 없이 서비스 개발이 이뤄지면서 수익이 악화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4분기 로엔엔터테인먼트의 실적을 제외한 카카오의 매출은 2,261억원, 영업이익은 86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각각 6.7%, 60% 줄어든 수준이다. /김지영기자 jik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