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관리공단은 3일 일교차가 큰 10월과 11월 등산 때 심장돌연사 위험이 높아 가을철 산행 때 탐방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단에 따르면 2011년에서 2015년 사이 국립공원 내에서 발생한 사망사고의 115건 중 58건(50.4%)이 심장돌연사였다. 특히 심장돌연사는 가을철인 10월과 11월에 발생한 사망사고 26건 중 15건(57.6%)에 달할 정도로 위험하다.
질병관리본부의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심폐소생술 순서는 ①환자반응 확인 ②119 또는 국립공원사무소에 신고 ③호흡확인 ④가슴압박 ⑤인공호흡 순이다. 가슴압박을 1분당 100~120회 속도로 30회를 한 후 인공호흡 2회를 연속으로 시행하면 된다.
만약 인공호홉 방법을 모르거나 인공호흡을 꺼리는 구조자는 일반적인 심폐소생술과 달리 가슴압박만을 시행하는 가슴압박소생술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심폐소생술은 한번 시작하면 환자의 호흡이 돌아오거나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계속 해야하기 때문에 혼자서 하기에는 체력적 소모가 크다. 생존확률을 높이려면 심폐소생술을 익힌 2~3명의 사람들이 교대로 시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국립공원관리공단 관계자가 심폐소생술을 교육하고 있다./사진=국립공원관리공단
무엇보다 가을 단풍철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등산객 스스로 몸을 챙겨야 한다. 출발 전에 반드시 자기 체력과 건강상태에 맞는 탐방로를 선택하고 스트레칭 등 충분한 준비운동을 해야한다. 평소 산행을 즐기지 않는 사람이 단풍을 보기 위해 높은지대를 목표로 산행을 하면 사고로 이어질 위험은 더 높아진다. 고지대 등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국립공원별 저지대 탐방명소를 찾는 것이 좋다. 특히 당뇨 또는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고령인 경우 둘레길 등 수평탐방로를 이용해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김경출 국립공원관리공단 안전방재처장은 “심장마비를 발견한 동반자가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생존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을 평소에 숙지하는 것이 좋다”며 “산행 전에 각 국립공원 사무소의 심폐소생 교육 실습을 이용하는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