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美 깜짝 대화…차기 美행정부 상대로 한 국면전환 시도인가

본격적인 대화보다는 탐색전 성격 높아.

21일 북미 접촉에 나선 로버트 갈루치(오른쪽) 전 미국 국무부 북핵 특사와 조지프 디트라니(가운데) 전 미국 국가정보국(DNI) 비확산센터 소장이 KBS 보도진과 대화하고 있다. /KBS화면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이 정점에 달했고 5차 핵실험에 대응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추가 대북제재 방안이 논의되는 상황에서 북미가 대화에 나선 배경에 초미의 관심이 쏠린다.

최근 외무성 미국 국장에서 부상(차관급)으로 승진한 것으로 알려진 한성렬 북한 외무성 부상은 21일 말레이시아에서 미국 민간 인사들과 회동했다.

교도통신은 앞서 지난 18일 한 부상이 중국 베이징에서 목격됐다고 전하며 말레이시아로 건너가 미국 측 인사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한 부상이 실제 미국 측 인사를 만날 경우 어느 인사와 접촉할지 관심이 쏠렸다.

이날 한 부상이 만난 미국 측 인사들은 미국의 대북 관련 양대 합의의 주역들이다. 로버트 갈루치는 1994년 북미 제네바합의를, 조지프 디트라니는 2005년 9·19 공동성명을 이끌어냈다.


다만 미국 정부는 한국·일본과 공조하며 대북 압박 강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고 북한과의 대화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고 있다. 미국 차기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북핵 문제’를 꼽아야 한다고 할 정도로 북한에 대한 시선은 싸늘하다. 정부 관계자들도 꾸준히 ‘북미 대화 가능성은 없다’는 데 무게를 뒀다.

이에 따라 민간 인사가 나선데다 양국 관계와 국제사회의 분위기를 고려할 때 이날 접촉이 본격적인 대화보다는 ‘탐색전’으로 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 입장에서는 미국에서 ‘김정은 사살’ 언급까지 나온 만큼 미국 조야의 분위기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12일 “(북한이) 핵 공격을 수행할 향상된 능력을 가질 수 있겠지만 그러면 (김정은은) 바로 죽는다”는 과격한 발언을 한 바 있다. 최근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 발사가 러셀 차관보 발언에 대한 반발 성격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무엇보다 다음 달 8일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차기 행정부가 들어서는 만큼 양 후보 진영의 대북 정책 기조를 파악하기 위한 전략일 가능성도 크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는 북미 대화 가능성이 사실상 없는 만큼 차기 행정부에서 새 판을 짤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가 나온 뒤 미국의 새 대통령을 상대로 국면전환을 시도하기 위한 그림 짜기에 돌입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류호기자 rho@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