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음료 주 7회 이상 마시면…고혈압 위험 10배 증가

탄산음료, 과일주스 등 당이 함유된 음료를 일주일에 7회 이상 마시면 고혈압 위험이 10배 이상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준현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2012~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5,853명을 상대로 가당 음료 섭취 빈도에 따른 고혈압 위험을 분석한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일주일 동안 가당 음료를 마신 횟수에 따라 대상자를 한 번도 섭취하지 않은 그룹(26.7%), 3회 미만(43.4%), 3~6회(21.7%), 7회 이상(8.2%) 섭취하는 그룹으로 분류했다.

섭취 빈도에 따른 그룹별 고혈압 유병률을 보면 가당 음료를 많이 마신 그룹일수록 고혈압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주일 동안 가당 음료를 섭취하지 않은 그룹의 고혈압 유병률은 13.8%로 가장 낮았고 3회 미만 섭취하는 그룹에서는 15%, 3~6회 섭취그룹 16.8%, 7회 이상 섭취그룹 47.9%로 늘어났다.


이 같은 고혈압 유병률은 대상자의 성별, 연령,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의 유무, 설탕·초콜릿·카페인 등의 섭취 정도가 분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정했을 때 더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변수를 보정해 일주일 동안 가당 음료를 섭취하지 않은 그룹을 기준으로 7회 이상 섭취한 그룹의 고혈압 위험을 비교한 결과 무려 10.88배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동일 조건에서 3~6회 섭취하는 그룹의 고혈압 위험은 2.73배, 3회 미만으로 섭취하는 경우 1.79배 증가했다.

유준현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당 섭취가 고혈압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비슷한 맥락으로 가당 음료를 주 7회 이상 섭취하면 고혈압 유병률이 높아진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유 교수는 “음료수의 섭취는 최근 지속해서 증가하는 1인당 당 섭취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가당 음료 섭취를 줄이면 심혈관계 질환 사망률의 주요 위험요인인 고혈압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KJFP) 최근호에 발표됐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