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이런 갈등이 줄어들기는커녕 해를 거듭할수록 악화하면서 경제의 잠재성장률까지 갉아먹고 있다는 점이다. 2009년 0.62였던 우리나라의 사회갈등지수는 2013년 0.66으로 높아졌다. OECD 평균이 이 기간 0.53에서 0.51로 낮아진 것과 대조적이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와 OECD 평균과의 격차가 0.10포인트에서 0.15포인트로 더 벌어졌고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더 커졌다는 분석이다.
현경연은 보고서에서 우리나라가 OECD 평균만큼 사회적 갈등을 줄이면 경제성장률이 0.2%포인트 오르고 2016~2020년 평균 2.7%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도 2.9%로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특히 주요7개국(G7) 수준으로 낮추면 잠재성장률 3%대 회복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사회안정뿐 아니라 경제성장을 위해서도 갈등을 치유하고 관리하는 노력이 매우 시급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런데도 이를 관리하는 사회 시스템은 OECD 최하위 수준이다. 2011년 기준으로 한국의 사회갈등관리지수가 OECD 내 27위를 기록했을 정도다. 이러니 이념·세대·지역·노사갈등에 이어 갑을갈등에 이르기까지 온갖 갈등이 터져 나오는 것이다. 정치권과 경제계·시민단체를 비롯한 각계각층은 사회적 갈등이 더 이상 치유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기 전에 서둘러 해법을 찾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