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지 아쉬운 점은 글로벌 제약사 유치 확대에 대한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글로벌 제약사의 경험과 노하우, 투자를 한국에 끌어들일 수 있다면 지금의 바이오제약산업 성장세가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을 텐데 말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와 경제 규모가 비슷한 싱가포르는 2000년대 초 정부가 ‘글로벌 제약기업 유치’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조세 인센티브, 인프라 구축, 인력 양성에 집중해 좋은 성과를 올린 바 있다.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산업고도화 전략으로 바이오제약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한 싱가포르는 2000년부터 약 15년간 270억달러의 정책 자금을 글로벌 제약사 유치에 투입했다. 그 결과 글로벌 기업 유치에 성공하고 바이오제약이 눈부시게 성장했다. 2001년 이후 바이오 생산액이 6배, 고용은 2.9배, 1인당 부가가치는 2.4배 성장하고 글로벌 10대 제약사 중 7개가 싱가포르에 생산설비를 투자하게 됐다.
글로벌 제약사 유치 증가에는 조세 인센티브가 결정적이었다. 영국계 제약회사 샤이어는 2008년 조세 절감을 목적으로 영국에서 아일랜드로 본사를 이전했다. 미국 액타비스도 앨러간을 인수해 본사를 아일랜드로 이전했으며 노바티스는 2012년 싱가포르에 바이오제약 생산거점을 구축했다. 조세 감면에 따른 해외 투자 증가는 이처럼 명백하다.
지난 4월 정부는 바이오제약산업의 육성·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신산업 투자 패키지 지원’ 계획을 발표하고 신산업에 대한 획기적 지원을 추진한 바 있다. 외국 투자기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 범위를 확대하고 신성장 R&D 세액공제를 확대했다. 이런 정책 방향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것은 물론 좀 더 적극적인 글로벌 제약사 유치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 더불어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R&D 성과의 사업화를 위한 선제적 대응과 국제 수준의 가이드라인 마련도 필요하다.
주광수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