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본연의 아름다움에 집중하겠다.” 연출의 말대로였다. 국립창극단의 창극 ‘트로이의 여인들’은 장식을 걷어내고 오롯이 소리로 무대를 꽉 채웠다. 싱가포르 연출가 옹켄센은 기원전 1350~1100년의 트로이-그리스 전쟁 이야기를 한국적인 그릇에 담기 위해 많은 것을 비우고 소리에 집중했다. 비극을 떠안은 채 남겨진 여자들은 자기 앞에 놓인 암울한 현실에 괴로워하며 저마다의 사연과 감정을 노래한다. 적장의 첩이 되어야 하는 공주 카산드라, 남편과 아들을 죽인 원수의 아들과 결혼해야 하는 안드로마케, 그리고 카산드라의 어미이자 안드로마케의 시어머니요 남편·아들·손자를 잃고 노예로 팔려갈 처지의 여왕 헤큐바까지. 이들의 노래는 대금·아쟁·거문고 등 배역 별로 지정된 악기를 통해 저마다 다른 결의 한을 담아낸다. 트로이전쟁의 원흉이 된 미모의 헬레네를 남자 단원 김준수가 연기하고, 그를 대변하는 악기 또한 국악기와 대조적인 피아노로 설정한 점도 인상적이다.
전체적인 극의 분위기는 미니멀리즘이다. 양옆 계단과 가운데 구조물이 세트의 전부다. 하얀 무대와 상복을 연상케 하는 배우들의 흰 의상 위로 파도, 태양, 구름, 우주의 영상이 투사되며 인물의 감정을 표현한다. 그렇게 군더더기는 덜어내고 그 자리를 오롯이 소리에 내어 주었다. 조미료 없이 선보이는 판소리 본연의 맛과 멋에 감동은 절로 따라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