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고고학에서는 오늘날 중미(中美)를 메소아메리카 문명권으로 부르며 멕시코 북부의 아즈텍과 남부의 마야문명으로 나눈다. ‘메소’는 그리스어로 ‘중앙’을 의미한다. 기원전 2,000년께 발생한 마야문명은 현재의 과테말라·온두라스·엘살바도르·니카라과 지역 등에서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다. 오늘날 이 지역은 250여개의 활화산, 천혜의 생물자원, 82㎞ 길이로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파나마 운하 등으로 유명하다. 최근에는 커피 경매사상 최고가인 파운드당 170달러를 기록한 파나마 게이샤와 코스타리카산 타라주 커피 등 1,200m 고산지대의 화산재로 다져진 토양에서 자란 중미산 커피가 전 세계 커피 애호가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고 있다. 또 중미국가 중 가장 부유한 코스타리카는 군대가 없고 전 세계에서 가장 행복지수가 높은 국가로 니카라과는 이글거리는 용암을 볼 수 있는 마사야 화산과 마나과 호수로도 널리 알려졌다.
니카라과의 수도 마나과에서 한국과 중미 6개국(온두라스·엘살바도르·니카라과·코스타리카·파나마·과테말라) 간 자유무역협정(FTA)이 실질적으로 타결됐다. 지난 2015년 6월 FTA 협상을 개시하기로 합의한 지 1년5개월 만이다. 이로써 한국은 중미 6개국과 동시에 FTA를 체결하는 최초의 아시아 국가가 돼 중국·일본 등 경쟁국들보다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최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 미국 내 보호무역주의 등 반무역 정서가 세계적으로 퍼지는 상황에서 한국과 중미 6개국이 높은 수준의 포괄적 FTA를 타결했다는 것은 이러한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경종을 울리는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이번에 타결된 한국과 중미 6개국 간 FTA의 의의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남미에서 국내총생산(GDP) 규모 5위(2,247억달러), 인구 규모 4위(4,478만명)의 신흥 성장국들을 안정적 소비시장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특히 상호보완적 교역구조를 활용해 자동차 및 부품, 철강, 석유화학 등 우리의 주력 수출품목과 가정용 전기제품, 화장품 등 중소기업 제품들의 수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엔터테인먼트·건설·유통·통신시장 등 유망 서비스 시장을 비롯해 세계무역기구(WTO) 정부조달협정(GPA)의 비당사국인 중미국들의 정부조달시장이 개방됐다. 이로써 최근 개통된 파나마운하 확장공사에 한국 기업들이 참여했듯이 앞으로도 대규모 인프라 구축사업에 더욱 활발히 진출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마련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마지막으로 중미 6개국은 미주 전역의 국가들과 FTA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최근 보호주의 우려 속에서도 북미시장으로 진출할 새로운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대미수출의 모멘텀을 이어가는 한편 향후 멕시코와의 FTA 협상 재개, 남미공동시장인 메르코수르(MERCOSUR)와의 FTA 추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기업들은 이미 섬유·의류 업체를 중심으로 중미시장에 깊숙이 진출해왔다. 엘살바도르와 과테말라에는 120여개의 한국 봉제·의류기업이 진출해 주재국 섬유 수출의 70~80%를 담당하고 수만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등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번 FTA 타결을 계기로 국내 섬유·의류 업계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글로벌 가치사슬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파나마에서는 한국 기업이 70㎿급 디젤발전소와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향후 지하철·교량 등의 건설사업 진출도 도모하고 있다.
니카라과에서 협상 중 겪었던 규모 5.8의 지진, 중미지역 지카바이러스의 위험, 1대6으로 긴박하게 진행된 막바지 개별협상 등 천신만고 끝에 탄생한 한-중미 6개국 간 FTA 협상은 95% 이상의 높은 자유화율이라는 성과를 내면서 극적으로 타결됐다. 그러나 한국과 중미국가 간 미래지향적 협력관계는 이제부터 본격적인 시작이다. 19세기 니카라과 불세출의 시인 루벤 다리오의 ‘너는 내 사람, 그 이상의 조화로움이 있을까’라는 시처럼 양측이 FTA를 통한 경제적 이익을 토대로 문화·인프라·정보통신·환경·교육·의료 등의 모든 분야에서 조화로운 상생관계를 발전시켜나가기를 바란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