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日 서비스업이 구직자보다 더 많은 일자리 만들었다

일본 대학 졸업 예정자 10명 중 7명이 이미 일자리를 마련했다는 소식이다.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내년 3월 졸업하는 대학생 중 취업 희망자들의 ‘취업 내정(內定) 비율’을 조사해보니 지난달 1일 현재 71.2%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7%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취업 내정 비율이 10월 기준 70%를 넘어선 것은 1997년 이후 19년 만의 일이라고 한다.


이런 추세라면 취업 희망 대졸자의 최종 취업률은 올 4월 수준(97.3%)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다. 주목할 점은 단순한 수치상 증가가 아니다. 일자리가 은행·제조업에서 비제조업, 특히 서비스업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제조업은 주춤해진 반면 비제조업에서 일자리가 쏟아지고 있다”고 전할 정도다. 그러지 않아도 일본은 일자리가 넘쳐나고 있다. 후생성이 발표한 9월 유효구인배율(구직자 한 명당 일자리 수)은 1.38배에 이른다.

구직자 한 명당 1.38개의 일자리가 있다는 의미다. 청년 취업난이 날로 심해지고 있는 우리 처지와는 딴판이다. 무엇보다 부러운 것은 일본 정부의 서비스업 육성 의지다. 전통적으로 취업시장을 책임져온 제조업이 흔들리자 서비스업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다. 최근 일본 정부는 내년 연구개발(R&D) 감세안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분야를 포함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제조업 중심이던 R&D 감세 대상을 AI·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분야로 확대하겠다는 포석이다. 일본은 이처럼 뛰고 있는데 우리는 걷지도 못하는 실정이다. 정부는 서비스업발전방안을 수도 없이 내놓았지만 가시적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은 정쟁 탓에 국회 통과가 요원하다. 세계 교역 규모가 둔화되는 상황에서 서비스 산업 활성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일본 등 다른 나라의 행보를 마냥 쳐다보고만 있을 시간이 없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