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신산업은 대세...트럼프도 못 바꾼다"

본지 '에너지전략포럼'
파리협약 탈퇴 등 공언 불구
온실가스 글로벌 공조 못 깨
에너지신산업 수출확대 위해
기술·금융 인프라 구축 필요

2415A01 스마트그리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파리기후변화협약(COP21)에서 탈퇴하고 화석연료 개발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공언해왔지만 실제 미국의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글로벌 시장의 에너지 신산업 확대 기조는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3일 서울경제신문이 서울 반얀트리클럽앤스파서울에서 ‘트럼프 체제의 에너지 신산업과 수출’을 주제로 개최한 ‘제6차 에너지전략포럼’에서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부 출범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글로벌 공조체제를 무너뜨리지 못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정태용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주제발표(‘에너지 신산업 분야 해외 동향 및 해외 진출 전략’)에서 “트럼프의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도 “1997년 교토의정서가 채택된 후 미국 등의 반대로 8년 만에 발효됐지만 중국과 인도 등 개발도상국이 앞다퉈 에너지 신산업 확대에 나서고 있어 국제시장의 흐름을 바꾸지는 못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도 “이미 전 세계에 많은 국가가 화석연료 발전을 자유롭게 할 수 없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며 “이미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가 많이 보급되면서 대세가 된 상태로 트럼프 당선인의 의지만으로는 추세를 전환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에너지 신산업을 우리나라 수출의 새로운 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는 단순제품 수출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에너지 솔루션 차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 교수는 “에너지 신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기술과 금융”이라며 “사업 초기 단계인 예비타당성 조사 때부터 공공과 함께 참여해 금융조달·사업전개·사후평가가 공유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면 에너지 신산업의 수출전망은 밝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주제발표자인 홍인관 코캄 총괄이사는 “해외 진출도 시장 초기에는 제조업체가 주류를 차지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진입이 많아져 수익성이 떨어진다”면서 “전기차를 만드는 테슬라는 자동차를 팔아 돈을 벌기보다 고속충전시설 등 인프라 구축을 통한 성공 모델을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 신산업 역시 먹이사슬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을 공략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홍용·김상훈기자 prodig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