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군의 P-8A(왼쪽)와 P-3C가 나란히 비행하고 있다. P-3C를 운용하는 한국 해군이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P-8A 도입을 추진해 이르면 오는 2022년께 국내에 도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군이 차기 해상초계기 후보기를 미국제 중고 S-3B 바이킹에서 최신형 P-8A 포세이돈으로 사실상 바꿨다. 애초부터 해군은 성능이 뛰어난 P-8A를 탐냈으나 가격이 너무 비싸 S-3B 바이킹 중고 기체를 택했다가 급하게 방향을 돌렸다. 지난 2015년 소요검증위원회까지 거친 군이 원점으로 돌아온 이유는 크게 세 가지. 첫째, S-3B의 전체 도입가격이 예상을 웃돌았다. 군 관계자는 “‘한국이 S-3B에 관심을 가진다고 알려진 후 중고 기체의 가격이 올라갔다’고 알려졌지만 오히려 가격은 협상 과정에서 내려갔다”며 “문제는 수리와 개조 비용이 예상보다 크고 운용 유지 보수도 어려워 사업을 사실상 접었다”고 말했다.
두 번째는 차기 해상초계기가 맡은 임무의 변화. 북한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에 성공하면서 보다 강력한 탐지 기능과 타격력·체공능력을 가진 탐지 및 공격 수단이 절실해졌다. 유사시 북한 영공까지 진입해야 할 부담이 더해졌고 이 같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종은 사실상 P-8A뿐이다. 세 번째, 가격이 내려가는 추세다. 미 해군뿐 아니라 인도·호주·영국·노르웨이가 주문을 낸 데 이어 유럽과 중동국가들이 입질하고 있어 가격은 더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대당 2,500억원이던 가격이 최근 1,500억원 수준으로 내려왔고 더 떨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여기에 해군의 의지가 강하다. 북한의 SLBM 위협이 가시화한 직후 P-8A 도입 논의가 군 내부에서 일었을 때 ‘해군이 초계기 기지로 사용하는 00기지는 계류 시설이 없고 새로 지을 부지도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해군은 ‘인근 해군 골프장을 뒤엎어서라도 계류시설을 확보하겠다’며 도입 필요성을 역설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보 환경과 군 내부의 공감대를 감안하면 차기 해상초계기는 사실상 P-8A로 정해진 상태다. 작전요구 성능을 충족할 수 있는 유일한 기종이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일본이 자체 개발한 P-1도 도입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일각의 질문에는 “일고의 가치도 없는 얘기”라고 잘라 말했다.
남은 과제는 가격과 도입 물량 및 전력화 시기. 가격은 국가별로 천차만별이다. 유지 부품을 포함해 옵션에 따라 대당 2억3,000만달러에서 4억5,000만달러까지 다양하다. 도입 대수는 최소 4대로 알려졌으나 해군은 이보다 조금 많은 수량의 도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가 당초 책정한 예산 1조3,500억원으로는 빠듯하다. 보잉사의 양산에 따른 가격 하락이 어디까지 이어질지와 어떤 사양을 선택하는지가 관건이다. 예산이 맞지 않으면 사업 자체가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지금부터 선행연구를 시작해도 도입 결정까지 3년, 인도까지 3년이 걸린다”며 “정상대로 추진되면 오는 2023년, 아무리 당겨도 2022년 이전에는 전력화가 어렵다”고 말했다.
/논설위원 겸 선임기자 hongw@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