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도암 병기 분류 국제표준지침, 국내연구진이 만든 기준 따른다

홍승모 서울아산병원 교수팀
기존 분류법 정확도 문제 개선
전세계 암 병기 결정 매뉴얼
AJCC, 내년부터 적용키로
서울아산병원·존스홉킨스대 등
환자 수백명 데이터 연구 결실
"새 분류법, 생존율 예측 등 도움
다른 암 병기 연구도 매진할 것"

홍승모 서울아산병원 교수(왼쪽 사진), 홍 교수팀이 고안한 담도암 병기 분류법을 표준으로 채택한 미국암연합위원회(AJCC)의 ‘제8판 암 병기 매뉴얼(Cancer Staging Manual)’ 표지(오른쪽 사진).
홍승모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교수팀이 만든 간외(肝外) 담도암의 병기(病期·1~3기) 분류법이 국제표준지침으로 채택됐다.

21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미국 암연합위원회(AJCC)는 홍 교수팀이 고안한 병기 분류법을 내년부터 적용되는 ‘제8판 암 병기 매뉴얼(Cancer Staging Manual)’의 표준 분류법으로 결정했다.

이 매뉴얼은 세계 의료계가 암 병기를 결정할 때 따르는 국제표준지침서로 6∼8년마다 개정되는데 국내 연구팀이 만든 기준이 공식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담도(쓸갯길)는 간에서 분비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보내지는 통로로 담관(쓸개관)이라고도 한다. 암이 간 담도에 생기면 간내 담도암, 쓸개 담도에 생기면 간외 담도암으로 구분한다.

홍 교수팀은 일련의 연구로 암세포가 자라 담도 조직을 뚫고 들어간 ‘침윤 깊이(T)’가 5㎜ 미만이면 1기, 5~12㎜면 2기, 12㎜ 초과면 3기 간외 담도암으로 구분하는 분류법을 고안했다.


종전의 T병기 분류법은 위암·대장암과 마찬가지로 암세포가 뚫고 들어간 데가 담도 내벽 상층인 점막층과 그 아래층(섬유근층)까지면 1기, 근막 주변층까지면 2기, 담도 벽을 뚫고 주변 장기인 췌장 등까지 침윤했으면 3기로 판정한다. 하지만 2기·3기 환자 간 예측 생존율에 차이가 없는 등 정확도에 문제가 있다.

홍 교수가 새 분류법을 만들게 된 계기는 환자에게서 떼어 낸 담도를 연구해보니 위·대장 등과 조직학적 구조에 상당한 차이가 있고 위치에 따라 담도 벽을 구성하는 평활근의 분포가 확연히 달랐기 때문이다.

내친 김에 서울아산병원에서 담도암 수술을 받은 222명의 조직 검체로 암세포가 가장 깊숙이 침윤한 부위까지의 깊이와 중앙생존기간(222명을 생존기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 즉 111번째 환자의 생존기간)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침윤의 깊이가 5㎜ 미만이면 중앙생존기간은 61개월, 5~12㎜면 23개월, 12㎜ 초과 때는 17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어 미국 존스홉킨스대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간외 담도암 환자 147명에게 적용해 5년 생존율을 산출해보니 침윤의 깊이가 5㎜ 미만이면 69%, 5~12㎜면 22%, 12㎜ 초과면 4%로 상당한 차이가 났다.

세 차례의 연구 결과는 지난 2005년 미국 암협회 학술지(Cancer), 2007년 미국 외과병리학회지(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2009년 외과학 국제저널(Surgery)에 발표됐다.

홍 교수는 “새 병기 분류법은 보다 정확한 병기 결정과 치료방향 결정, 생존율·예후 예측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담도암뿐 아니라 췌장암·담낭암 등 췌담도계 암에 대한 병기 개발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