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1월 기준 300인 이상 기업(대기업) 취업자는 247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43만7,000명보다 불과 3만7,000명 늘었다. 10월에도 같은 기간 3만6,000명 늘어나는 데 그치는 등 2개월 연속 3만명대 증가에 머물렀다.
이 같은 취업자 증가폭은 8,000명이 감소한 2015년 5월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지난해 11월 대기업 취업자는 전년동월 대비 17만명 급증했다. 올 상반기까지만 해도 6월에 전년동월 대비 14만2,000명이 늘어나는 등 10만명대 증가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7월 8만9,000명으로 급감한 뒤 8월 4만6,000명, 9월 4만5,000명으로 꺾였고 이후에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대기업 취업자 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기업들이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투자를 줄이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미래가 불안하다 보니 투자도 고용도 늘릴 수 없는 것이다. 본격화되고 있는 조선·해운업종 대기업이 구조조정으로 몸집을 줄이는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대기업의 상당수는 신입사원보다 경력사원을 채용하는 추세다. 신입사원을 뽑으면 1~2년간 적지 않은 교육비용을 써야 하는 만큼 꼭 필요한 소수의 경력사원을 뽑아 바로 업무에 투입하자는 분위기다.
반면 1인 기업과 소기업의 취업자 증가폭은 대기업과 반대 양상을 보이고 있다. 11월 1~4인 기업 취업자는 980만8,000명으로 전년동월의 976만 2,000명 대비 4만6,000명 증가했다. 직전 달인 10월은 전년동월 대비 1만8,000명이 줄었다. 2015년 1월(-10만1,000명)부터 22개월 연속 마이너스였던 취업자 증가폭은 11월 플러스로 전환했다.
전문가들은 300인 이상 기업의 고용이 줄고 미만 사업장의 고용이 늘어나는 추세가 우리 사회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내 노동시장은 기업 규모에 따라 임금·복지 수준이 현격하게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전병유 한신대 교수의 ‘기업 규모 및 원하청에 따른 노동 일터의 격차와 불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성·연령·근속연수 등이 같다고 가정할 때 300인 이상 기업 종사자는 1~4인 사업체 근로자보다 지난해 기준 43% 정도의 임금을 더 받고 있다. 건강보험·국민연금·고용보험에 모두 가입된 근로자 비율도 300인 이상 사업체에서는 95.0%에 달하지만 1~9인 사업체는 40.8%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대기업 일자리 증가세 둔화는 곧 질 좋은 일자리 감소를 의미한다”며 “대기업의 사내유보금이 투자로 연결돼 고용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유망산업 위주로 연구개발(R&D)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