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면초가 재계 오죽하면 ‘방패경영’ 말까지 나오나

재계가 내년에 부채를 축소하고 비주력 계열사를 매각하는 등 방어적 경영에 주력할 모양이다. 서울경제신문이 삼성·현대차 등 10대 그룹을 조사했더니 새해에는 기존의 공격적 경영전략에서 벗어나 재무건전성을 유지하는 차원의 ‘방패경영’에 들어간다는 곳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외부에서는 막대한 사내유보금을 놓고 왈가왈부하지만 정작 기업들은 안심할 수 없다며 투자지분을 처분하고 회사채를 발행하는 등 앞다퉈 현금 확보에 나서는 양상이다.


대기업들이 잔뜩 몸을 움츠리는 것은 국내외 복합위기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이 기승을 부리는데다 환율과 금리 등 금융시장도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형편이다. 국내로 눈을 돌려보면 더욱 답답하다. 재계에서는 대선 정국을 맞아 법인세 인상이나 지배구조 개편 등 메가톤급 악재가 터져 나올까 우려하고 있다. 여기다 10대 그룹 가운데 7곳이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수사 대상에 오르고 총수마저 무더기로 출국금지 대상에 올라 있다. 광장에서는 ‘재벌 해체’나 ‘총수 구속’ 같은 극단적인 정치구호가 난무하고 있다. 이런 판국에 누가 앞장서서 투자를 늘리고 해외 시장 공략에 앞장설 수 있겠는가.

그나마 희망적인 것은 기업들이 최대한 실탄을 비축해 투자에 나서는 ‘선(先) 방어, 후(後) 공격’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혼란스러운 정치일정이 마무리되는 내년 하반기를 투자 재개 시점으로 잡고 있다고 한다. 정치권에서 최소한 대기업들이 경영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준다면 투자를 늘려 고용을 창출하는 제 역할에 충실할 수 있다는 얘기다.

산업계에서는 나라가 혼란스러워도 경제는 제대로 굴러가게 도와줘야 한다며 호소하고 있다. 정부는 경제정책을 일관성 있게 밀고 나가고 정치권도 합리적인 기업행위에 대해서는 더 이상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만 기업인들이 어깨를 펴고 본연의 경영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