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원유감산 합의 지켜질까

이달 이행 돌입 불구 강달러 등으로 차질 가능성..."감산량 80% 머물것"

지난해 11월 30일 OPEC 회원국 등 주요 산유국이 원유 감산에 합의했다. 사진은 러시아 서부 사마라주의 로즈네프사 원유 생산기지./노보쿠이비솁스크=블룸버그통신


석유수출국기구(OPEC) 14개 회원국을 비롯한 산유국들이 지난해 합의한 원유감산 계획이 1일(현지시간)부터 이행된다. 감산이행 여부에 따라 원유시장에 큰 파급효과가 예상되는 가운데 달러화 가치 상승과 셰일가스 생산량 증가 조짐도 나타나고 있어 1월이 향후 국제유가 동향을 결정지을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CNBC는 지난해 11월30일 8년 만에 이뤄진 OPEC의 감산합의 이행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시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했다.

알렉스 드라이덴 JP모건 글로벌시장 전략가는 “전체적으로 (당초 계획한) 감산량의 80%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상충되는 이해관계 때문에 이탈하는 국가들이 나타날 것이며 최근의 강달러 기조와 유가 상승에 자극을 받는 셰일가스 생산량 등이 변수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토머스 월터스 스탠더드앤푸어스 글로벌 신용분석가도 “OPEC 산유량 감산은 과잉공급 상태인 시장 상황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겠지만 배럴당 60달러 이상으로 유가가 오른다면 셰일가스 생산을 자극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계속되는 달러화 강세가 감산이행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극심한 경제난에 시달리는 베네수엘라의 경우 유가 상승을 통한 재정난 타개를 꾀하며 하루 9만5,000배럴 감산에 합의했지만 달러화 가치가 오르면서 국가채무 압박이 커져 감산합의를 파기하고 원유 수출물량을 늘릴 가능성도 높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약속 파기의 위험은 이라크와 러시아에도 존재한다. 이라크는 일단 하루 20만~21만배럴의 감산을 공언한 상태지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와의 전쟁비용 부담 때문에 이행 여부가 불확실하다. 매크로어드바이저리의 크리스 웨퍼 선임 파트너는 “이라크가 (초과 생산을 위한) 변명을 준비하고 있다”며 “최근 이라크는 감산합의 이전 실제 생산량이 공식 발표량보다 459만배럴 많다고 밝히면서 이 추가 생산량을 줄여나가겠다고 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이라크가 실질적 감산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비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은 감산(일일 30만배럴)을 약속한 러시아의 이행안도 여전히 불확실하다. 웨퍼 선임 파트너는 “러시아는 구체적인 안이 부족해 설령 정부가 감산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기업들이 얼마나 참여할지 미지수”라며 부정적 시각을 내비쳤다.

이 같은 시장의 우려에 대해 모함메드 바르킨도 OPEC 사무총장은 셰일가스의 파급력은 미국 등 일부 지역에만 미칠 것이라며 “감산합의만이 균형가격을 이뤄낼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제유가는 전 세계 원유 생산량의 40%를 차지하는 OPEC의 감산합의 발표 이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한해 동안 브렌트유는 52%,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45% 올라 2009년 이후 최대 연간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수민기자 noenemy@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