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육성 50년, 이제 혁신이다]"中企가 조연서 주연되려면 규모 키우고 연구역량 강화해야"

김세종 중소기업연구원장
제도적 지원방안 만들어
민간 주도 유도해야



김세종 중소기업연구원장


“중소기업이 국내 경제에서 주연으로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규모를 키우는 스케일업 전략과 연구역량 강화를 통한 레벨업 전략이 필요합니다.”

김세종(사진) 중소기업연구원장은 9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50년 동안 중소기업은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국가 경제에 많은 기여를 했지만 새로운 50년을 위해서는 새로운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며 혁신적인 중소기업 육성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원장은 중소기업이 더 큰 규모로 성장할 수 있어야 대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제도적으로 중소기업이 규모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돈을 투자해 중소기업을 키우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면서 “중소기업에 고용과 수출 확대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민간 기업 스스로 규모를 키워나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중소기업 간 인수합병(M&A)을 유도하기 위해 대기업의 사내유보금과 은행의 풍부한 유동성이 중소기업계에 흘러갈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대기업 사내유보금의 일부만이라도 중소기업 M&A로 끌어들이거나 배당을 늘려준다면 중소기업들이 얼마든지 규모를 키워 해외 기업과 정면 승부를 할 수 있게 된다”며 “규모를 키운 중기들은 사업전환과 사업조정을 통해 고용 창출과 수출 증가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처럼 규모를 키운 회사의 수출금액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세액공제와 정책자금을 지원해 시장에 확실한 시그널을 보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또 올해 말 개정될 예정인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벤특법)’ 역시 육성의 주체를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바꿔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20년 전에 만들어진 벤특법은 수차례의 개정작업을 거쳤지만 여전히 낡은 울타리에 갇혀 있다”면서 “이제는 과거 투자에 대한 과실을 따내야 하는 시점인 만큼 민간 중심의 생태 기반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과거처럼 정부 주도로 벤처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게 과연 맞는 것인지 심각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중기와 마찬가지로) 벤처캐피털 자금과 금융권의 자금이 활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질적인 변환을 유도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특히 매출 1조원이 넘는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신생 벤처에 투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기업이 또다시 벤처기업에 투자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유망한 IT 기업을 발굴해 우선주 투자 방식으로 자금이 유입된다면 IT 기업 내에서의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다”고 민간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원장은 마지막으로 중소기업 내부의 후계자 육성 문제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일본의 도금·금형 조합 관계자를 만났을 때 관련 중소기업 폐업의 90%가 후계자 문제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우리는 대기업 출신 임원이 중소기업 전문경영인으로 오지만 환경이 다른 만큼 내부적으로 후계자를 찾아 전문경영인으로 키우는 작업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용기자 kimi@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