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게릭 앓고도 75번째 생일 맞은 스티븐 호킹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지난 8일로 75번째 생일을 맞았다. 그는 생존 자체로 의학사에 새로운 기록을 써내려가고 있다. 루게릭병 환자들이 발병 후 길어야 10년을 넘기지 못한다는 통념과 달리 75번째 생일을 맞은 호킹 박사는 최근 지인들과 ‘로그원:스타워즈 스토리’를 관람하는 등 여전히 건강한 모습이라고 영국 데일리메일과 인터내셔널비즈니스타임스(IBT) 등이 보도했다.

지난주 초 오후 시간대 영화를 관람한 “호킹 교수와 친구들 모두 영화가 재미있었는지 행복한 표정이었다”고 한 목격자는 전했다.


1963년 21세의 호킹 교수는 전신의 근육이 서서히 마비되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진단을 받았다. 이 병을 앓던 미국 야구선수의 이름을 따 ‘루게릭병’으로 널리 알려진 희소병이다. 의료진은 그가 몇 년 버티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54년이 지난 현재까지 생존해 있다.

오히려 그의 학문적 성과는 병을 진단받은 직후부터 꽃을 피우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는 루게릭병 진단 이후에도 학업을 계속하며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뛰어난 연구성과로 연구원으로 채용되는가 하면 1979년부터 2009년까지 케임브리지대 수학 석좌교수를 맡았다.

1663년 역사적인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이 이 보직을 맡은 적이 있어 호킹 교수는 이후 뉴턴의 계보를 잇는 물리학자로 손꼽혔다. 특히 호킹이 1988년 발간한 대중 과학서 ‘시간의 역사’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로 등극하며 그의 이름을 세계에 알렸다.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1,000만권 이상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 /변재현기자 humblenes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