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의 실질적 총수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2일 피의자 신분으로 특검에 소환됐고 최지성 미래전략실 실장(부회장),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등 수뇌부들이 줄줄이 사법 처리될 위기에 놓였다. 최악의 경우 그룹 1·2·3인자 모두 구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엄중한 상황이다. 이 부회장이 22시간의 특검 조사를 받은 후 바로 귀가하지 않고 13일 오전 서초사옥에서 긴급 회의를 소집한 것도 이 같은 위기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삼성의 한 고위관계자는 “그룹 컨트롤타워인 미전실은 그야말로 비상 상황”이라며 “수뇌부들에 대한 사법 조치로 핵심 사업에 급제동이 걸리면 글로벌 경쟁력도 떨어지게 된다”고 우려했다.
◇리더십 공백에 경영은 ‘시계 제로’=삼성 직원들은 2008년 ‘비자금 특검’으로 경영공백이 생기고 핵심 사업에 제동이 걸린 아픈 과거가 재연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삼성의 한 관계자는 “2008년의 경우 장기간에 걸친 특검 수사를 받느라 5대 신수종 사업 선정이 늦어지면서 태양광, 발광다이오드(LED) 분야에서 결국 경쟁력이 떨어지고 말았다”며 “특검의 무리한 수사로 이 부회장을 비롯한 그룹 수뇌부가 구속되는 사태가 발생한다면 자동차 전장, 바이오,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등 핵심 사업 추진에 급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고 말했다.
전문경영인이 수조원에 달하는 인수합병(M&A), 시설투자와 같은 중대한 경영상 의사결정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반도체 생산 라인을 1개 확장하는 데는 10조원 안팎의 투자가 필요하고 디스플레이 라인을 늘리는 데도 1조원 이상의 자금이 소요된다.
가장 걱정스러운 점은 초기 적자를 무릅쓰고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바이오 사업이다. 삼성 바이오 사업은 아직까지 적자를 내고 있지만 미래 성장성을 보고 매년 1조원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10대 그룹의 한 관계자는 “전문경영인은 단기 수익을 겨냥해 기업을 운영하기 때문에 수조원대의 자금이 투입되는 프로젝트나 초기 적자 사업에 투자를 꺼리게 된다”며 “삼성그룹에 경영공백이 나타난다면 이 같은 투자는 전면 중단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글로벌 네트워크 단절 우려=글로벌 경영은 ‘인적 네트워크’다. 재계 총수들이 글로벌 포럼이나 국제행사에 참석하는 이유다. 이 부회장은 2013년부터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중국 보아오포럼에 참석하고 있다. 이 부회장은 보아오포럼 이사로 활동 중이지만 지금은 출국 금지된 상태다. 2015년에는 이사단과 함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면담을 했고 각국 정상과 글로벌 최고경영자(CEO)들을 대상으로 의료 분야에 대한 연설을 했다. 특검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오는 3월 중순 개최되는 2017년 보아오포럼에는 참석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둘러싸고 한중 통상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 부회장이 모종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 같은 기회도 사라지게 된다. 삼성으로서도 보아오포럼에 참석하는 글로벌 기업 CEO들과 신성장동력 마련, 사업제휴 등을 논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잃게 된다. 이 부회장은 이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인 ‘CES 2017’에 참석하지 못했고 17~20일 스위스에서 열리는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도 갈 수 없게 됐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식 초청장도 받았지만 무용지물이 됐다.
이에 더해 이 부회장이 사외이사로 참여하는 이탈리아 자동차그룹 엑소르그룹 이사회도 조만간 열릴 예정이지만 이 역시 참석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엑소르는 피아트크라이슬러(FCA) 자동차의 지주회사다.
이 부회장이 천명했던 미전실 해체와 사장단·임원인사, 사업·조직개편, 자랑스러운 삼성인상, CEO 세미나 등도 하염없이 미뤄질 수밖에 없다. 지난해 12월 초에 인사를 단행하고 지금은 조직개편도 마무리했어야 하지만 계속된 검찰과 특검 수사로 어느 것 하나 이뤄진 것이 없다. 특검 활동기간 연장 여부에 달려 있지만 3월 말이나 4월 초에 미전실 해체와 맞물려 사장단·임원인사가 단행될 가능성이 크다. 올해 1·4분기까지는 주요 의사결정이 늦어지면서 계열사 경영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을 비롯한 삼성그룹 수뇌부가 모두 사법 처리될 경우 경영공백이라는 최악의 상황에 빠지게 된다”며 “이 부회장이 증거인멸이나 도주 등의 우려가 없는 만큼 특검은 불구속 기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서정명기자 vicsj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