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15일 ‘행동주의 투자자의 아시아 기업 공격과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아시아 기업이 행동주의 투자자의 주요 공격 표적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행동주의 투자자는 경영이 어렵거나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에 투자해 일정 지분을 확보한 뒤 구조조정을 강하게 압박해 단기간 내 주가를 끌어올림으로써 수익을 올린다.
보고서에 따르면 행동주의 투자자의 공격을 당한 기업은 2014년 344개에서 2015년 551개를 기록해 1.6배로 증가했다.
이 중 아시아 기업은 2014년 17개에서 2015년 83개로, 1년 사이에 약 5배로 늘었다. 황재원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기본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을 공격하기 때문에 미국 등에 비해 저평가된 아시아 기업들이 공격 대상이 되기 쉽다”고 말했다.
또 최근 아시아에서 기업들이 행동주의 투자자의 요구를 수용하는 비율이 높아진 점도 공격이 늘어난 이유로 분석했다.
2015년 아시아 기업에 대한 헤지펀드의 성공률은 전년 대비 17.1% 증가했는데 이는 미국(3%)과 영국(6.9%)보다 높았다.
과거 사례를 보면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주로 보수적인 기업문화 때문에 현금 보유량이 높은 기업을 표적 삼아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각 등 주주환원정책을 요구했다.
또 ‘지배구조 개선’이라는 여론전으로 낮은 대주주 지분율과 승계 문제 등을 겪는 기업을 공략했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황 부연구위원은 “정부의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환원 강화 정책 기조, 반재벌 정서와 같은 사회적 분위기가 행동주의 투자자의 요구조건을 관철하는데 용이한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물산-엘리엇 사례에 이어 지난해 다수의 국내 상장사들이 행동주의 투자자의 공격을 받았다”며 “포이즌 필, 차등의결권 같은 경영권 방어장치를 마련할 때지 지배구조 규제강화를 논의할 때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서정명기자 vicsj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