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재생·염증 관련 생리활성물질(단백질)인 PGE2와 유전자 YAP1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면 대장 용종과 대장암세포가 발생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밀어주고 끌어주는’ 둘 간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대장암 치료제 개발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16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명승재(소화기내과)·임대식(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이런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을 소화기질환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학술지 ‘소화기병학(Gastroenterology)’ 최근호에 발표했다.
명승재(왼쪽)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와 임대식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대장 염증을 일으키는 약물을 주입한 쥐의 PGE2 활동을 줄이기 위해 항염증제를 투여했더니 YAP1 유전자의 활동이 40%가량 줄었다. PGE2가 많이 발현되도록 실험쥐의 유전자를 변형했더니 YAP1의 지시로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발현량도 1.5∼2.5배 증가했다. 또 YAP1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활성화한 쥐의 대장에선 PGE2가 정상 쥐보다 2.5배가량 증가했다. 반대로 YAP1 유전자를 없앴더니 PGE2를 만들도록 지시하는 유전자의 기능도 먹통이 됐다.
두 물질이 상호작용으로 과하게 발현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쥐의 대장에선 12∼16주만에 용종이, 24주 안에 암세포가 생겼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대장암 환자 77명의 조직에서도 PGE2와 YAP1이 과발현된 것으로 나타나 동물실험 결과를 뒷받침했다.
명 교수는 “PGE2와 YAP1이 지나친 상호작용으로 과발현되면 대장암세포가 생긴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두 물질의 상호작용을 끊을 수 있는 신약이 개발된다면 부작용 없이 대장암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