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은 총수와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계열사 전문경영인이 삼각편대를 이루면서 움직인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되는 유고사태가 발생한다면 당분간 미전실을 중심으로 ‘현상유지’ 경영전략을 수립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의 캐시카우인 반도체의 경우 신규 공장을 건설하는데 10조원 이상이 필요하고 디스플레이와 바이오 투자에도 수조원의 자금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문경영인이 의사결정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10대 그룹의 한 고위 관계자는 “그룹 총수가 구속되는 비상상황이 되면 기업들은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지 못하게 된다”며 “삼성도 당분간 현상유지 전략을 펼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오너의 과감한 의사결정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현상 유지와 관리에 치중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의 부재 사태가 현실화한다면 삼성전자 등 주요 계열사는 각각의 전문경영인이 이끌어가고 그룹 전반과 관련한 사안은 미전실과 계열사 사장단이 협의체 방식으로 결정해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부회장이 국회 청문회에서 해체를 약속했던 미전실은 한동안 존속될 수밖에 없다. 지난해 10월 이 부회장이 등기이사를 맡으면서 4인 대표이사 체제가 구축된 삼성전자는 한동안 권오현 부회장과 윤부근 사장, 신종균 사장 등 3명이 각각 부품(DS)과 소비자가전(CE), IT·모바일(IM) 부문을 책임지는 방식으로 꾸려갈 것으로 보인다. 특검이 완료되는 시점에 미전실 해체와 맞물려 인사와 조직개편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올해 5월까지 만들기로 한 지주회사 전환 방안은 한동안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정명기자 vicsj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