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이 2021년에는 이같은 노후 택지지구가 더 늘어나 도민의 18%가량이 거주하게 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주택시장에 혼란을 주지 않는 재건축 추진 등 체계적인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 경기연구원 이성룡 선임연구윈원 등의 ‘경기도 노후택지지구의 관리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도내 준공 택지개발지구는 147곳이며, 이 중 32%인 47곳이 20년 이상 된 ‘노후 택지지구’이다. 7곳은 30년이 넘었다.
분당과 일산 등 1기 신도시 5곳을 포함한 이 노후 택지지구에 거주하는 주민은 194만1,700여명(48만7,100여가구)으로, 전체 도민 1,300여만명의 15% 정도를 차지한다.
5년 뒤인 2021년이면 이같은 노후 택지개발지구는 70곳으로 늘어나고, 거주 주민도 전체 도민의 18%인 237여만명으로 증가한다.
재건축 등 재정비를 한 일부 노후 택지지구는 주민의 요구에 맞춰 사업성을 우선 고려하다 보니 주택이 아파트 등으로 점차 획일화되거나 고밀도화되고, 녹지 등 기반시설 면적은 점점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1기 신도시와 같은 대규모 택지개발지구와 달리 소규모 택지들은 사업성 결여 등으로 재건축이 어려워 생활여건이 갈수록 악화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이같은 노후 택지개발지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및 정비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개별법에 의해 추진되는 재건축, 재개발, 리모델링, 도시재생사업 등 각종 재정비 사업을 특별법 제정을 통해 총괄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안 마련을 제안했다.
또 주택시장에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근 지역 입주 가능 주택 물량 등을 고려, 지역별 또는 시기별로 재정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구도심 지역도 주택단지 위주의 신개발보다는 재생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수원=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