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24일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된 정기선거인대회에서 위원장에 당선된 직후 기자들과 만나 “노동계가 소수만 참여한 현재의 노사정위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3자 간 합의를 만들어 낼 수 없다”며 “차기 정부에서 균형 있는 관계를 갖추게 된다면 참여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김 위원장은 현 정부와의 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축했다. 김 위원장은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이 노동 4법의 ‘국회 일괄 통과’를 포기하고 우선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 근로기준법을 개정하자고 한 것과 관련해서도 “노동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일방적인 ‘노동개악’을 추진했던 정부가 이제 와 근로시간 단축을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근로기준법 개정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려고 했다간 더 큰 저항에 부딪힐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이 온건파로 분류되고는 있지만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과 비교한 상대적인 평가라는 지적도 나온다.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은 지난 2015년 노사정 대타협에 반대해 분신을 시도한 바 있다. 실제 김주영 위원장은 여러 노동현안에 대해 강경한 입장이다. 전력산업 민영화 저지 투쟁에 앞장섰고 계약직 노동자 정규직 전환과 아웃소싱 업체 노동자 조직화, 고용안정 단체협약 등을 이뤄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강제적 인력 감축 및 통폐합 구조조정에 맞서 공공기관 선진화 대책 저지 투쟁을 전개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공공 부문 정상화 대책에 맞서 ‘성과연봉제 저지를 위한 기획재정부 앞 68일 노숙투쟁’과 함께 ‘노동개악 중단 촉구 국회 앞 1인시위’를 30일간 전개했다.
김 위원장은 주요 공약으로 △박근혜 정권 퇴진, 정권교체로 한국 사회 개혁 △조합원 주권 시대를 위한 참정권 확대, 직접민주주의 도입 △차별 철폐 양극화 해소를 위한 법 개정 투쟁, 공격적 조직사업을 통한 강한 노총 재건 등을 내걸었다.
고용노동부는 일단 예의 주시하고 있는 모습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김 위원장 당선과 관련, “노동조합은 자율기구이기 때문에 새 지도부 구성에 대해 정부가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다만 위원장 등이 새로 당선된 만큼 노사정 간의 대화 채널이 다시 열리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동계는 탄핵정국에서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노동계 관계자는 “탄핵으로 정부마저 동력을 상실한 현 시국에서 특별히 달라질 것은 없을 것으로 본다”며 “다만 차기 정부와는 대화의 물꼬가 터지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