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한은은 ‘중국 통화정책의 특징과 3대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중국은 2011년 이후 광의의 통화(M2) 목표치를 12~16%대로 설정해 유동성 공급을 지속하는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경제 성장을 뒷받침해 왔다. 인민은행의 유동성조절대출제도(SLF), 중기 유동성지원창구(MLF), 취약부문 자금 지원을 위한 담보보완대출(PSL) 등 새로 도입된 통화정책을 통해 중국은 그동안 경착륙 가능성을 낮춰왔다.
한은은 이 같은 중국의 통화정책 기조가 최근 긴축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인민은행은 지난달 24일 금융기관 대상의 중기 유동성지원창구 금리를 10bp 인상하는 등 그동안 완화 기조를 완만하게 수정하는 모습이다. 한은은 이 같은 배경을 두고 디플레이션 우려가 크게 완화된 상황에서 부동산 버블, 기업부채 급증 등 금융안정에 대한 우려가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 같은 중국의 긴축 기조로 트릴레마적 정책 상황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트릴레마란 국제경제학의 주요 이론인 멘델-플레밍 이론이 지적한 문제로, 자본 자유화·통화정책의 자율성·환율 안정 등 세 가지 정책 목표는 동시에 달성이 불가능하다는 개념이다. 쉽게 말해 중국이 자본이 자유롭게 국경을 넘나들 수 있도록 금융시장의 ‘빗장’을 하나둘씩 풀고 있는 상황에선 통화정책으로 경기를 쉽게 조절하기가 쉽지 않은데다, 이로 인해 당국이 억누르고 있는 통화가치가 절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이 같은 중국의 트릴레마가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지난 2014년 마이너스까지 떨어졌던 한국과 중국의 국채수익률 상관계수는 2015년 말 기준 0.4 수준까지 올라서 있다. 2012년 우리나라와 중국 국채 수익률 상관계수는 0.8 수준까지 올랐던 바 있다.
여기에 긴축 기조로 인한 중국 실물경제의 둔화, 트럼프 행정부의 환율전쟁 선포로 인한 위안화 가치 변동 등도 고려하면 국내 금융·외환시장의 충격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이윤숙 한은 중국경제팀 과장은 “중국 통화정책의 기조 및 변화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