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가 급격한 위안화 가치 하락에 이어 외환보유액 급감이라는 더블펀치를 맞고 흔들리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위안화 평가절하의 여파로 달러화 뭉칫돈이 급격히 빠져나가고 있는 가운데 심리적 마지노선인 외환보유액 3조달러마저 무너짐에 따라 중국 경제와 금융시장이 한층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중국 당국이 보유외환을 동원해 위안화 환율 방어전을 벌여온 상황에서 외환보유액 감소는 위안화 절하 압력이 컸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만큼 시장은 향후 1달러당 7위안이 붕괴될(위안화 가치 하락)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 경우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려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중국 간 환율전쟁의 파고는 한층 높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국내 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하는 이유다.
7일 중국 인민은행이 발표한 지난 1월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당초 블룸버그 등 시장전문가들의 예상치인 3조35억달러에 못 미치는 2조9,882억달러로 집계됐다. 중국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6월 이후 7개월 연속 감소해 2011년 2월(2조9,914억달러) 이후 약 6년여 만에 최저치로 곤두박질쳤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경제가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 6위안대 사수와 외환유출 방어라는 힘겨운 전투를 벌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에서는 이 과정에서 중국 당국이 위안화 절하 압력을 저지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외환보유액 3조달러 붕괴를 용인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은 중국의 급격한 외환유출과 위안화 가치 급락 가능성에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앞으로 외환유출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외환보유액 3조달러와 달러 대비 7위안이라는 중국 금융시장의 심리적 버팀목 두 개가 동시에 허물어질 경우 시장의 충격이 증폭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외환보유액 감소가 달러를 팔아 위안화 가치를 지키려는 중국 정부의 노력을 반영하지만 역으로 위안화 약세 지속 가능성을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자산 가치를 지키기 위해 해외로 빠져나가는 자금이 늘면서 외환보유액 감소 속도가 더욱 가팔라지고 이는 다시 시장의 불안 심리를 부채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달러당 7위안이 붕괴될 경우 가뜩이나 중국을 환율조작국이라고 비난하는 트럼프 미 행정부의 공세가 한층 거세지면서 글로벌 환율전쟁이 격화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미 재무부는 올 4월 환율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는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긴 3조달러의 둑이 무너진 만큼 중국 금융당국이 7위안 방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외환유출 속도가 다시 가팔라지고 있는 만큼 외환보유액이 연내 2조7,000억달러까지 밀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물론 중국 외환보유액의 적정선이 어디쯤이냐는 데 대해서는 중국 당국자들과 글로벌 시장의 시각이 큰 차이를 보인다. 이강 인민은행 부행장은 최근 “중국은 여전히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고 2위인 일본과 3위인 사우디아라비아보다 각각 2.6배, 5.7배 많을 정도로 충분하다”며 시장 안정을 강조하는 발언을 내놓았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중국의 수입과 대외부채, 시중 통화량을 감안해 1조8,000억달러가 최소 적정 보유액이라고 추산했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중국 당국의 통제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상황에서 3조500억달러가 적정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사회과학원 정치경제연구소의 장밍 연구원은 “중국 금융당국은 외환보유액을 이용해 위안화 가치를 방어하는 위험한 게임을 하고 있다”면서 “이는 오히려 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해 중국 경제를 불확실성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감도 짙다. 상황에 따라서는 한국 시장에서도 자본유출이나 수출위축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올해 꼽았던 리스크 5개 가운데 가장 큰 것이 중국 리스크”라며 “중국 당국이 자본통제 노력을 하는데도 3조달러가 깨졌다는 것은 자본유출 상황이 아주 좋지 않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다만 또 다른 관계자는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면서 “중국 외환보유액이 줄기는 했지만 우리의 수출감소나 외환보유액 이탈로까지 이어질 정도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베이징=홍병문특파원 세종=이태규기자 hb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