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 발표된 NGS 유전자 검사 선별 급여 적용에 대한 고시안을 두고 업체 간 희비가 엇갈린다. NGS 검사는 환자의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유전자 변이에 따른 희귀질환 진단 또는 개인별 맞춤형 치료제 처방이 가능하다. 췌장암에 걸렸던 스티브 잡스 전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에 가장 적합한 항암제를 찾기 위해 택했던 검사법으로 유명세를 탔다.
문제는 병원 등 요양기관이 실시한 검사만 급여 혜택을 주기로 했다는 점이다. 특히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의 ‘유전자검사 정확도 평가 3회 이상’ ‘승인신청 직전 평가 A등급인 기관’ 등 조건이 까다로워 이곳저곳에서 볼멘소리가 나온다. 이 기준을 통과할 수 있는 곳은 업계의 골리앗인 일부 대형병원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문의 자격 취득 이후 5년 이상 경험이 있는 병리과 또는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를 상근하도록 한 기준도 너무 높다는 지적이다. 현실적으로 소규모 병원은 검사 의뢰조차 불가능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빅5’ 대형 종합병원을 제외하곤 복지부 조건을 맞출 곳이 거의 없다”며 “기존의 병원들이 유전체 분석 노하우가 풍부한 기업과 협의해 안정된 검사를 수행해온 현실을 깡그리 무시한 처사”라고 꼬집었다. 고시안 원안대로 시행되면 대형병원 쏠림 현상의 심화는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반면 부정적 측면만 부각할 필요가 없다는 시각도 있다. 환자들이 유전자 검사를 많이 하고 장점을 알게 되면 시장 전체 규모가 커질 수 있다는 논리다. 다른 관계자는 “불과 1년 전만 해도 환자에게 NGS 검사 얘기를 꺼내기도 힘들었다”며 “최근 관심이 많아졌고 미백·탈모 등 일부 유전자에 한해 ‘소비자 직접 의뢰 검사(DTC)’ 판매도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미흡한 점은 정부와 업계가 심도 있는 대화를 통해 합의점을 찾으면 된다”고 덧붙였다.
/김경미기자 kmki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