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으로 갤럭시S8 흥행마저 위기에 처했다. 삼성 측은 오너 리스크와 신제품 출시는 별개라는 입장이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갤노트7 사건이 잊혀지기도 전에 ‘비리 기업’이라는 낙인이 찍히면 타격이 심각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반도체 장비 업체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4·4분기 삼성의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이재용 부회장이 구속되면서 대외 신뢰도마저 떨어지면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더 떨어질 수 있다”며 “애플, 중국의 화웨이 등 경쟁사는 오히려 이 상황을 기회로 삼아 입지 확대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이 사상 최악의 위기에 처했다. 당장 스마트폰 사업에 빨간불이 켜진 것은 물론 이 부회장 책임 경영 이후 추진해온 사업 구조 재편 등이 ‘올스톱’ 될 처지다. 4차 산업혁명이 한창인 가운데 삼성은 어느 때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신성장 동력에 투자해야 하지만 오너 부재로 대규모 투자도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무엇보다 ‘돈 되는 사업에 과감히 투자하겠다’던 이 부회장의 ‘선택과 집중’ 전략에 차질이 생겼다. 이 부회장은 방위·석유화학 등 비주력 사업을 정리하고 바이오·자동자 전장 등 신사업에 집중하면서 그룹의 여러 계열사를 정리해왔다. 궁극적으로는 삼성전자에 의존하던 수익 구조를 바꾸고 ‘전자-바이오-금융’의 3대 축으로 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구상이었다. 하지만 이 부회장이 구속되고 삼성물산 합병이 특검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아직 교통정리가 끝나지도 않은 사업부문이 혼란의 소용돌이에 빠지게 됐다. 오너와 미래전략실이라는 컨트롤타워의 신속한 결정으로 신사업에 기민하게 대응해온 삼성의 사업 구조상 당장 계열사별로 시장에 적극 대처하기란 불가능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특히 삼성이 핵심 먹거리로 삼는 바이오 및 반도체 부문의 성장 정체가 불가피해졌다. 전문경영인은 엄두를 낼 수 없는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야 하기 때문이다. 바이오 사업의 경우 적자가 계속 발생하더라도 미래 성장을 위해 장기적으로 매년 1조원 이상을 투입해야 하고 반도체 사업은 생산 라인을 1개 확장하는 데만 10조원 안팎의 거금이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라인을 늘리는 데도 1조원 이상의 자금이 소요된다. 실제로 삼성은 지난 5년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를 통해 바이오 분야에 5조원 이상을 쏟아부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솔직히 전문경영인은 단기 수익을 겨냥해 기업을 운영하기 때문에 수조원대의 자금이 투입되는 프로젝트나 적자 사업에 손을 댈 수 없다”며 “삼성에 경영 공백이 나타난다면 이 같은 투자는 전면 중단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글로벌 기업인 삼성의 인적 네트워크가 끊길 위험도 커졌다. 이 부회장은 2013년부터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중국 보아오포럼의 이사로 활동해왔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글로벌 리더들을 만나면서 신사업 제휴를 모색해왔다. 이미 이 부회장은 최근 열린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2017’에 참석하지 못했고 다음달 ‘2017 보아오포럼’의 참석도 불가능해졌다.
아울러 이 부회장의 뇌물죄가 확정될 경우 삼성전자가 미국 해외부패방지법(FCPA)의 타깃이 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FCPA는 미국 증권 시장에 상장돼 있거나 미국에 법인을 둔 기업이 공무원 등에게 뇌물을 제공하면 벌금 등 형사처벌과 함께 경제제재를 받는 것으로 삼성전자가 FCPA 제재 대상으로 확정되면 과징금을 내야 하고 미국 연방정부와의 사업도 금지된다. /신희철기자 hcshi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