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를 자르는 절단 효소 중 크기가 가장 작은 CjCas9과 아데노바이러스, 가이드 RNA는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황반변성을 유전자 가위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 /사진제공=IBS 유전체교정연구단
국내 연구진이 실명까지 초래하는 퇴행성 망막질환인 황반변성을 3세대 ‘유전자 가위’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은 김진수 단장과 김정훈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팀이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눈의 망막 중심부 신경조직인 황반부가 신생혈관 때문에 손상되는 것을 막는 두 가지 치료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3세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잘라낼 특정 유전자 부위의 염기서열을 인식하는 ‘가이드(안내자) RNA’와 절단효소로 이뤄져 있다. 희귀·난치병 치료제나 슈퍼근육 돼지, 몸에 좋은 올레인산 함유량을 2배로 늘린 콩 등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가축을 종전보다 손 쉽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이다.
치료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가이드 RNA와 유전자 절단효소 복합체를 실험쥐의 황반 부위 아래에 주사해 구조가 불안정해 잘 터지는 신생혈관이 마구 자라나나게 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의 유전자를 잘라냈다. 그 결과 신생혈관이 만들어지는 양을 반영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됐고 유전자 가위는 3일 간의 임무를 마치고 분해돼 사라졌다.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도 않았다.
또 다른 치료법은 유전자 가위를 만들 수 있는 DNA를 아데노바이러스 전달체에 실어 생체 내 목표 부위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유전자 가위를 실험쥐의 유리체강(수정체와 망막 사이를 채우고 있는 무색 투명한 젤 형태의 구조물)에 주입했더니 신생혈관 억제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이 치료법엔 근육·간·신경세포 등 특정 장기·세포 침투력이 뛰어나 유전자 치료 물질 전달체로 널리 쓰이는 아데노바이러스, 공표된 유전자 절단효소 중 크기가 가장 작고 단일 가닥의 DNA여서 안전성이 높은 CjCas9이 사용됐다. CjCas9은 캄필로박터 제주니 균에서 발굴한 절단효소로 바이오 벤처기업 ㈜툴젠(199800)이 개발했다.
김진수 단장은 “다양한 퇴행성 질환에서도 병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를 잘라내 치료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유전자 가위의 임상적용 범위가 다양한 장기와 전신 질환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정훈 교수는 “현재 질환 동물 모델에서 효과를 확인했고 향후 전(前)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통해 신약으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널 ‘지놈 리서치’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황반은 노란색 원반 모양인데 시세포와 시신경이 집중돼 있어 시력 및 색각 구분에 핵심적 기능을 한다. 물체의 상이 맺히고 시각정보를 전기신호로 바꿔 대뇌로 보내주는 망막 기능의 90% 이상을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