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發 쇄신, 다른 그룹으로 확산될듯

한화 등 계열사 독립경영 접목
컨트롤타워 역할 조정 가능성

재계 맏형인 삼성그룹이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을 해체하는 등 쇄신안을 발표하면서 다른 그룹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재계 및 학계 전문가들은 당장 큰 변화는 없더라도 삼성과 비슷한 방향으로 조직 문화 대수술이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본다.

국내 대기업들은 조직이나 인사·채용·대관 등에서 삼성의 방식을 상당 부분 차용해왔다. 대기업의 성장 방식이 비슷했던 만큼 재계 1위인 삼성의 방식을 벤치마킹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기 때문이다. 채용이 대표적이다. 삼성그룹이 지난 1957년 첫 그룹 공채에 나선 후 계열사별 교차지원이 안 되는 그룹 공채 방식은 하나의 규칙처럼 이어지고 있다. 삼성이 직무능력 및 인적성 검사(SSAT)를 시작하자 현대차(HMAT), SK(SKCT), LG(GSAT) 등도 비슷한 제도를 만들었다.

삼성의 변화는 현재 기업 형태가 지주회사 체제인지에 따라 영향이 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지주회사 체제를 이미 갖춘 SK나 LG 등 주요 그룹은 지주사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이어가는 등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미래전략실처럼 법적 실체가 없다는 비판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다만 지주사 역할은 계열사별 포트폴리오 재조정과 같은 거시적 역할에 머물 것이라는 관측이다. 계열사의 독립성을 중시하는 삼성의 방식을 접목할 가능성도 크다.


지주사 체제가 아닌 현대차나 롯데·한화 등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직간접 조직들의 기능이 대폭 축소될 수 있다. 미전실처럼 법적 실체는 없어 권한과 책임이 괴리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컨트롤타워가 자칫 오너가의 이익에 기여하기 위한 조직이라는 나쁜 이미지가 생긴 것 역시 부담이다. 현대차처럼 주요 계열사가 중심이 되고 나머지 계열사들이 이를 따라가는 방식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경묵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삼성은 지극히 특수한 상황이기 때문에 변혁을 선택한 것이지만 계열사가 많은 국내 다수의 대기업들에 컨트롤타워는 꼭 필요한 존재”라며 “당장 관련 조직이 없어지지는 않을 것이고 기능이나 역할이 발전·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밖에 그룹 차원에서 진행되던 인사 방식은 계열사 별로, 그룹에서 진행하던 연말 기부금 등의 문화는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의 변화가 오히려 기업들의 정상적인 활동에까지 악영향을 주는 것은 아닐지 우려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