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19일, 일본 도쿄에서 진행된 혐한 시위 현장에서 쏟아져 나온 말들이다. 부산의 일본국 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 문제에 대한 항의의 뜻으로 일본 정부가 주한 일본대사와 총영사를 본국으로 소환한지 50여일이 지났지만, 외교 파행은 좀처럼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
/사진=kbs
도쿄의 대표적인 한인타운인 오쿠보의 한국 상권 역시, 상당수의 점포가 문을 닫는 등 크게 위축되고 있다. 박근혜 정부가 ‘지난 24년간, 역대 정부가 이뤄내지 못했던 큰 성과’라고 자평해온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벌어진 일들이다. 일본에선 지금,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3월 1일 밤 11시, KBS 2TV<추적60분>에서는 올해로 98주년인 3.1절을 맞아, 한·일 위안부 합의의 문제점을 되짚어보고 그 대안을 모색해본다.
2015년 12월 28일 체결된 한일 위안부 합의는, 군의 관여를 인정한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10억 엔이라는 돈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불가역적’, ‘최종적’이라는 표현으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합의 직후인 2016년 1월부터 지금까지 아베 총리를 비롯한 일본 정부의 각료들은 ‘군이나 관헌에 의한 강제연행은 없었다’는 망언을 쏟아내는가 하면, 오히려 ‘10억 엔을 줬으니 한국 정부는 성의를 보이라’며 ‘소녀상 이전’을 압박하고 있는데. 누가 가해자이고, 누가 피해자인지 모를 만큼 주객이 전도된 상황에 아베 정부에 대한 일본 국민들의 지지율은 70%를 넘어섰고, 정작 지난 수십년간 길거리에서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함께 법적 배상을 요구해온 위안부 할머니들의 마음에는 더 큰 상처만 남았다.
/사진=kbs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회복을 위한 사업을 실시하기 위해 설립된 ‘재단법인 화해-치유재단.’ 2016년 8월 31일 일본 정부가 재단으로 10억 엔을 송금했다. 재단은 합의 당시 생존해 계시던 위안부 피해자 46분에게 1억 원씩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고 이사장은 직접 피해자 할머니들을 방문하며 개별면담을 가져왔다. 피해 생존자 46명 중 34명, 즉 70%가 강요가 아닌 자발적 동의하에 1억원을 수령했고 한일 위안부 합의와 재단활동을 지지한다는 재단 측의 주장은 과연 사실일까.
지난 2월 16일, <추적 60분>은 외교통상위원회 의원들의 화해?치유재단 방문에 동행했다. 김태현 이사장과의 면담, 실제 재단 이사장과 위안부 할머니의 면담과정을 녹음한 약 80분 분량의 파일, 그리고 1억원을 ‘자발적’으로 받은 것으로 알려진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 및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증언을 통해 합의 이후, 꾸준히 ‘강제연행’과 ‘법적 책임’을 부인하고 있는 아베 정부의 태도에도 불구하고 재단은 왜 위로금 지급을 서두르고 있는지, 그리고 지급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없는지 파헤쳐본다.
정부에 공식 등록된 피해자 239명 중 생존해있는 39명 할머니들의 평균 나이는 90.2세. <추적 60분>은 과연 위안부 할머니들이 바라는 ‘진정성 있는 사과’ 한 마디를 얻어내는 것이 그토록 무리한 일인지,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입장은 무엇인지 각 정당에 묻고 방송에 공개할 예정이다.
/서경스타 정다훈기자 sestar@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