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보지 않은 길 가는 삼성] 삼성, 계열사 협의체 필요한데...'따로 또 같이' SK식으로 가나

<4.끝>안갯속 지배구조 개편 대안은
각사 이사회 중심 경영하다
그룹차원 결정사안은 협업
자율성-법적 정당성 아우른
SK수펙스추구협의회 눈길
'전자' 지주사 전환 필수적

SK수펙스추구협의회 구성 및 특징


“삼성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기로 한 만큼 이제는 삼성이 계열사 간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협업하는 데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권태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계열사별 협의회 등을 만들어 사회공헌 등 기존의 순기능을 이어나가면서 미래 먹거리 발굴에 협력해야 합니다.”(이경상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조사본부장)

삼성이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고 계열사별 자율경영 체제를 선포했지만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혼란을 최소화할 계열사 간 협업 체계가 필요하고 결국 관련 조직이 만들어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수십년간 ‘오너→미전실→계열사’로 이어진 톱다운 방식에 익숙했던 전문경영인과 임직원들이 당장 수평적 리더십을 발휘하며 계열사 간 시너지를 발휘하기가 쉽지 않은 데다 해결해야 할 숙제와 부작용이 만만찮다는 평가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재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삼성의 계열사 자율경영은 총수 구속에 따른 불가피한 과도기 체제일 수 있다”며 “자율경영에 바탕을 두되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협업 시스템은 구축해야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이미 계열사 간 자율경영체제를 본격화한 후 보조 위원회 등을 통해 계열사 간 시너지 창출에 일정 부분 성과를 내고 있는 SK식 모델이 재조명되는 상황이다.

SK는 2012년 11월 서울 광장동 아카디아 연수원에서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와 사외이사 등이 참여해 그룹의 새로운 운영방식인 ‘따로 또 같이 3.0’을 공식 도입했다. 계열사들이 평소 각사 이사회 중심의 경영을 하다가 그룹 차원에서 협의할 사안이 있을 때 SK수펙스추구협의회 산하 위원회에 참여해 협업하는 게 핵심이다. 예컨대 글로벌성장위원회엔 해외 사업과 연관된 기업의 이사들이 참여해 공동의 먹거리를 논의하고 커뮤니케이션위원회에는 기업 홍보가 필요한 곳들이 가입해 타사 의견을 듣는 식이다. 수펙스추구협의회와 각 계열사는 공식 계약을 맺는 등 법적 절차도 밟는다. 자율성과 법률적 정당성을 모두 아우르는 셈이다.

특히 최태원 SK 회장, 최재원 SK 부회장 등 총수 일가의 참여를 배제하고 지주회사인 SK도 각사의 의사결정에 관여하지 않는 게 특징이다. 지주회사의 큰 역할이던 각 계열사 CEO 및 주요 임원 인사도 위원회에 넘겼다. CEO 평가 등의 인사는 인재육성위원회가 검토해 각사의 이사회에 전달하고 각사 이사회가 최종 확정하는 구조다. 현재 SK는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에 조대식 전 SK 사장을 두고 △전략위원회(조대식 의장 겸직) △에너지·화학위원회(위원장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 △ICT 위원회(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글로벌성장위원회(유정준 SK E&S 사장) △커뮤니케이션 위원회(박정호 SK 텔레콤 사장) △인재육성위원회(서진우 사장) △사회공헌위원회(최광철 사장) 등을 운영 중이다. SK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삼성 미전실과 비슷한 게 아니냐고 하지만 수펙스추구협의회는 의사결정 기구가 아닌 조정·협의 조직”이라며 “각사가 분담금을 내서 운영하고 이 비용도 공시하면서 투명하게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삼성이 SK의 모델을 참고한다고 해도 넘어야 할 산은 많다. 무엇보다 삼성전자의 지주회사 전환이 필수다. 삼성전자가 지주회사로 전환하면 합법적인 틀 안에서 각 계열사 의견 조정에 참여할 수 있다. 계열사별로 당면 현안을 해결하게 하면서 지주회사가 그룹차원의 미래 먹거리 발굴이나 인수합병(M&A) 등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삼성 측은 지난해 11월 처음으로 지주회사 전환 가능성을 공식화했지만 오는 24일 개최되는 주주총회 안건에는 지주회사 전환 문제가 포함되지 않았다.

삼성이 협업 체제를 구축한다 해도 자리를 잡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SK만 해도 계열사별 자율경영 체제를 도입한 지 무려 15년이 넘었고 수많은 토론을 거치며 2007년과 2012년 자율경영 체제를 리뉴얼했다.

/신희철기자 hcshin@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