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대 높아지는 토종 핸드백 …매출은 ↓



# 롯데백화점 본점은 봄 시즌을 맞아 지하 1층 핸드백 매장을 새롭게 단장했다. 헤지스, 브루노말리, 힐리앤서스, 라베노바 등 11개 토종 브랜드를 철수시키는 대신 가성비 높은 수입 핸드백과 수입 화장품을 그 자리에 심었다. 그나마 MCM, 루이까또즈, 쿠론, 루즈앤라운지 등이 살아남아 토종 핸드백의 명맥을 지켰다.

핸드백 매출이 지난해 사상 첫 역신장을 기록한 가운데 토종 핸드백이 설 자리를 잃어 가고 있다. 높은 원가와 가격 격차가 좁아진 수입 핸드백, 유행에 민감한 트렌디백 사이에 끼여 추락하고 있는 것이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본점 핸드백 상품군 신장률은 2013년 전년 대비 13.7%로 정점을 찍은 후 내리막길을 걷더니 지난해 처음으로 -1.2% 역신장했다. 롯데백화점은 핸드백 매출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원인으로 수입 산에 비해 경쟁력이 크게 떨어진 토종 핸드백 브랜드들의 매출이 크게 하락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이번에 새롭게 매장을 단장하면서 생긴 국내 핸드백 브랜드의 빈 자리를 수입 브랜드로 채웠다. 지하 1층 핸드백 코너에 새롭게 들어온 수입 브랜드는 최근 뜨고 있는 ‘칼 라거펠드’ ,‘파슬’, ‘브릭스’, ‘브릭스앤릴리’ 등이다. 가성비가 높은 트렌디백의 대표주자 ‘델라스텔라’ ‘애크타’도 전격 배치했다. 아울러 직구족들에게 입소문 난 폴란드 메이크업 브랜드 ‘잉글롯’을 비롯해 유인나 화장품으로 유명한 ‘어딕션’이 뉴페이스로 등장했다.

토종 핸드백이 맥을 못 추는 데는 불경기로 소비 양극화가 심화 되는 가운데 갈수록 가격대가 높아지는 로컬 핸드백에 지갑을 여는 고객이 사라지고 있어서다. 로컬 핸드백은 최근 몇 년 사이 해외 브랜드에 뒤떨어지지 않도록 품질을 높이고 디자인과 장식에 더 신경을 쓰는 바람에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반면 명품백을 제외한 수입 핸드백은 갈수록 가격이 낮아지는 추세다. 소비자들은 이 정도 값이면 돈을 더 주고 명품백이나 마르니, 끌로에, 스텔라맥카트니 같은 컨템포러리 백을 사는 게 낫다는 판단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수입 핸드백들은 오히려 가격 정체성이 무너져 갈수록 가격을 낮추거나 좀 더 저렴한 ‘세컨드 브랜드’를 출시하고 있다”며 “국산 브랜드와의 가격 격차가 현저히 줄어다”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샤넬 수석디자이너 출신 칼 라거펠드의 핸드백 브랜드 ‘칼 라거펠드’는 명품스러운 감성을 간직하면서도 가격은 샤넬의 10분의 1 수준도 안 된다. ‘리틀 샤넬’로 불리며 국산 핸드백의 최대 강적으로 떠오르고 있다. 여기에 에코백이나 SPA형 가방인 ‘트렌디백’이 젊은 층을 사로잡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불황이 장기화 되는 상황에서 토종 브랜드들이 현실을 직시하고, 새롭게 변신해야 할 때이다”고 강조했다. /심희정기자 yvette@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