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서울경제DB
한쪽 다리를 올린 채 손가락을 뺨에 대고 생각에 잠긴 국보 제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사진)이 어깨 수술을 받는다.10일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따르면 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의 보관(寶冠)과 오른쪽 어깨 부분, 왼쪽 발받침의 균열을 접합하고 보강하는 보존처리가 오는 5월31일까지 진행된다. 우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가 유물의 상태를 점검한 뒤 표면의 부식물과 먼지를 제거한 다음 보존처리에 돌입할 예정이다. 6세기 후반 삼국시대에 제작된 이 반가사유상의 보존처리는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10년 전인 2007년에 옷자락 아래쪽을 복원하고 접합하는 보존처리가 진행됐다.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불상의 상태가 심각하지는 않고 예방적 차원에서 보존처리를 하는 것”이라며 “문화재위원의 자문을 거쳐 신중하게 작업을 하겠다”고 말했다.
반가사유상은 출가 전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명상에 잠긴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도에서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와 일본까지 전래됐다. 이 제78호 반가사유상은 은은한 미소를 띤 표정, 자연스러운 반가부좌 자세, 불상이 몸에 걸치고 있는 천의(天衣)의 율동적인 흐름 등 예술적 완성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삼국시대 당시 성행한 미륵신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한 유물로 꼽힌다.
이 반가사유상은 1912년에 그 존재가 알려져 1916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됐으나 원래 출토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지난해 이 불상과 일본 나라(奈良) 현 주구지(中宮寺)의 7세기 목조 반가사유상이 국립중앙박물관과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의 특별전을 통해 나란히 공개돼 양국의 문화전파를 확인시켰다.
/조상인기자 ccsi@sedaily.com